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사상(私商)

서지사항
항목명사상(私商)
용어구분전문주석
관련어강상(江商), 송상(松商), 만상(灣商), 내상(萊商), 경상(京商), 육의전(六矣廛), 시전사인(市廛商人), 사상도고(私商都賈)
분야경제
유형집단 기구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조선후기 국내 및 해외 시장을 연결하여 물품을 교역하고 각지에 지점을 두어 상권을 장악한 상인.

[개설]
사상(私商)은 18세기부터 서울 및 각 지방 도시의 상업을 장악했을 뿐만 아니라 대외무역에도 참여하는 등 활발한 상업 활동을 전개하였다. 대표적인 사상으로는 한강을 중심으로 자본을 모은 강상과 개성의 송상이 있다. 이들은 시전상인의 특권상업에 대항하는 한편으로 축적된 자본을 인삼 재배나 광산 등 산업자본에 투자하는 경향을 보였다.

[설립 경위 및 목적]
16세기 이후 시전상인과는 다른 새로운 상인 세력이 등장했는데 현재 광장시장과 동대문시장인 이현(梨峴)과 현재 남대문과 서서문 밖에 형성된 시장인 칠패(七牌)의 사상이 그들이다. 이들은 정부에서 지정한 판매물품의 범위를 벗어나 불법으로 상행위를 하였기 때문에 난전(亂廛)이라고 불렸다.

이들은 상품화폐경제의 발전과 더불어 18세기에 도시를 중심으로 발전하면서 보다 큰 자본력과 상업기술을 갖춘 비특권 상인이 되어 상품유통 과정을 장악하기 시작했다. 이들은 관으로부터 특권을 부여받아 이익을 독점하던 시전상인과 대립하며, 직접 생산자나 소상인과 이해를 같이하기도 하였으나 점차 세력이 커지고 축적하는 자본 규모가 커지자 이들 역시 권력과 결탁하였다.

사상은 대외무역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17세기 초까지 대청무역은 사신단의 일원이었던 부연 역관들이 주도해 왔다. 그런데 17세기 후반부터 사상들도 사행무역에 참여하기 시작했다. 사상들이 사행무역에 참여할 수 있는 방법은 사행원역들과 결탁하거나 서울과 지방의 관아에 청탁하는 것이었다.

[조직 및 역할]
17세기 이후 종로의 시전과는 별도로 칠패를 중심으로 시장권이 형성되었다. 18세기에는 한양 동부에 자리한 현재 종로구 낙원동과 돈의동 일대인 어의동을 중심으로 또 다른 상권이 조성되었다. 바로 이현 시장이다. 시전과 더불어 칠패와 이현을 합하여 3대 시장을 형성했다.

18세기 시전 상업뿐 아니라 시안(市案)에 등록되지 않은 자유상인인 사상의 난전 상업도 크게 번성했다. 이 시기 나타난 난전으로서의 사상은 대개 여섯 가지의 양상을 보였다. 첫째는 손에 지니고 다닐 수 있는 조그만 수지물(手持物)이나 자신이 직접 제조한 수조물의 판매를 합법적으로 허용 받았던 훈련도감 군병이 판매하는 행위, 둘째는 외방의 지방 상인이나 선상들이 직접 소비자에게 물건을 판매하는 행위, 셋째는 한양의 수공업자들이 직접 제조한 물품을 시전을 거치지 않고 판매하는 행위, 넷째는 세력가와 결탁한 사상으로 도고 난전 상업 형태로 나타난 행위, 다섯째는 시전을 정점으로 한 유통체계의 하부에 종속되었던 중도아, 여객 주인들이 시전을 거치지 않고 직접 소비자에게 물건을 판매하는 행위, 여섯째는 시전 내에서 벌어진 난전 활동으로 시안에 등록되지 않은 물건을 판매하거나 다른 시전의 영업 구역을 침범하여 영업하는 행위였다.

[변천]
시전상인은 특정 물품을 독점적으로 판매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다른 상인이 해당 물품을 몰래 판매하다 적발되면 물건을 빼앗기고 관청에 고발되었다. 그러므로 난전을 운영하던 사상들은 불만이 많았다. 그러자 1791년(정조 15) 정부는 육의전을 뺀 나머지 시전의 금난전권을 혁파하여 아무나 물건을 팔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신해통공이라고 부른다.

소상인과 도시민의 반발을 명분으로 삼아 실시된 신해통공 정책으로 새로운 사상들이 성장하게 되는데 이들을 가리켜 사상도고(私商都賈)라고 불렀다. 이들은 주로 서울에 상품이 들어오는 길목을 장악하여 상업 활동을 했다. 대표적인 사상들의 거점으로는 포천의 송우점, 삼남지방에서 서울로 들어오는 길목인 송파, 한강 연안의 마포, 용산, 뚝섬 등이 있었다. 또한 이들 사상들은 서울 안의 이현과 칠패의 소상인과 지방의 개성상인과 연계하여 뛰어난 자금력과 우수한 조직망을 확보하여 서울의 상품 유통을 장악해 나아갔다.

한편 지방의 사상으로서 전국적인 유통망을 가지고 있던 상인 집단으로는 개성상인을 들 수 있다. 이들이 자본을 크게 축적할 수 있었던 것은 홍삼 덕분이었다. 이들은 인삼을 재배하고 가공하여 수익을 올렸고 상업활동을 넘어서서 광산 개발 등에 자본을 투자하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 『비변사등록(備邊司謄錄)』
■ 『각사등록(各司謄錄)』

■ [집필자] 이철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