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정의]
조선시대에 비가 그치고 날이 개기를 빌기 위해 도성의 4대 국문(國門)에서 지내던 제사.
[개설]
입추(立秋)가 지나도록 장마가 계속되어 큰 피해가 예상될 때, 비가 그치고 날이 개기를 기원하던 기청제(祈晴祭)의 일종이다. 도성의 4대 국문인 숭례문(崇禮門), 흥인문(興仁門), 돈의문(敦義門), 숙정문(肅靖門) 위에 설치한 제단에서 거행하였으며, 제사의 규모로는 소사(小祀)에 속하였다. 헌관(獻官)은 3품관 중에서 임시로 임명하였는데, 해당 방위의 산천(山川) 신위(神位)를 모시고 산천이 있는 곳을 바라보며 지내는 망제(望祭) 형식으로 제를 지냈다. 일반적으로 3일간 지속적으로 거행하였으며, 부득이 할 경우 입추 전에 제사를 지내기도 하였다.
[연원 및 변천]
기청제 중 도성의 국문이나 지방의 성문에서 거행한 영제(禜祭)는 중국 수(隨)나라의 제도를 준용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신라 때 4개의 성문에서 거행한 사성문제(四城門祭)와 4곳의 물가에서 거행한 사천상제(四川上祭)가 기청제와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고려시대에는 좀 더 다양한 형태의 기청제가 거행되었는데, 그중에는 의종(毅宗) 때 정식화된 영제국문의(禜祭國門儀)도 포함된다.
[절차 및 내용]
의식은 의례를 거행하기 전의 준비 과정과 행사 당일의 의례 절차로 구분되었다. 제사 전날에는 청재(淸齋)와 진설(陳設)을 행하는데, 이것이 준비 과정에 해당한다. 청재는 서둘러 제사를 지내야 할 경우에, 3일간의 재계(齋戒) 대신 하루 동안 근신하며 몸과 마음을 깨끗하게 하는 절차를 가리킨다. 진설은 제사 전날, 일을 맡은 유사(有司)가 제단을 청소하고 제사에 사용할 각종 집기와 제사에 참석하는 모든 구성원의 자리를 미리 정하는 일을 말한다. 여기에는 제삿날 축시(丑時) 5각(刻) 전에 신위를 놓아두는 신좌(神座)를 설치하는 일도 포함된다.
제사 당일의 의례 절차는 사배(四拜), 작헌(酌獻), 철변두(徹籩豆)의 순으로 진행된다[『세종실록』 오례 길례 의식 구우영제 국문의]. 제사에 참여하는 모든 구성원과 신에게 잔을 올리는 헌관은 축시 1각 전에 미리 정해 둔 자신의 자리로 나아간다. 헌관이 4번 절하면 참석자 모두가 자신의 자리에서 4번 절하며 신을 맞이한다. 헌관은 신위 앞에 나아가 세 번 향을 올리는 삼상향(三上香)을 행하고, 신에게 술잔을 올리는 작헌(酌獻)을 행한 뒤 축문(祝文)을 읽는다. 기원의 말을 아뢴 다음, 모신 신을 다시 돌려보내는 송신(送神)의 절차가 철변두이다. 철변두는 제기인 ‘변(籩)’과 ‘두(豆)’를 거둔다는 의미이지만, 실제 의례에서는 변과 두를 조금씩 움직여 놓는다. 이후 헌관이 4번 절하고 나가면, 제사에 참석한 모든 사람이 4번 절하고 뒤따라 나간다. 끝으로 대축(大祝)이 제사에 사용한 축판을 구덩이에 묻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