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고사묘(告社廟)

서지사항
항목명고사묘(告社廟)
용어구분전문주석
상위어국상(國喪), 흉례(凶禮)
관련어고묘(古廟), 고문(告文), 고사(告社)
분야왕실
유형의식 행사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국상의 절차에서 승하한 사실 혹은 사위(嗣位)하는 뜻을 사(社)와 묘(廟)에 고하는 의절.

[개설]
국상이 났을 때 대신(大臣)을 보내 사직(社稷)종묘(宗廟), 영녕전(永寧殿) 등에 왕, 왕비, 왕대비 등의 승하 사실을 알렸다. 대개 국상의 제3일에 행한다. 세종대에 있었던 고문(告文)은 사단(社壇)과 직단(稷檀)에 각 1개씩, 영녕전에 1개, 종묘에 1개였다. 고문은 흉사 외에 경사 때에도 작성하여 알렸다.

[연원 및 변천]
세종대에는 국상의 사실을 고하는 곳이 종묘와 사직, 영녕전 등이었으나 효종대에는 인조의 첫 번째 비 인열왕후(仁烈王后)의 혼전(魂殿)인 숙녕전(肅寧殿)에도 그 사실을 고하였다[『효종실록』 즉위년 5월 14일]. 숙종대에는 빈궁(嬪宮)의 상사(喪事)에 종묘, 영녕전, 영소전(永昭殿), 경녕전(敬寧殿)의 고문(告文)을 설행한 바 있으며[『숙종실록』 44년 2월 7일] 영조대에는 왕세손이 사위하는 뜻을 사직, 종묘, 영녕전 외에 저경궁(儲慶宮), 육상궁(毓祥宮), 휘령전(徽寧殿)에도 고하였다[『영조실록』 52년 3월 6일].

[절차 및 내용]
국장(國葬)에서 제3일에 대신을 보내 사직·영녕전·종묘에 고한다. 사묘(社廟)에 고하는 의절은 조선조 내내 큰 변화는 보이지 않는다. 고하는 의절에는 전(奠)이 없다. 사단과 직단에는 각각 1개씩의 고문이 있고, 영녕전에는 1개, 종묘에도 1개의 고문이 있다.

[참고문헌]
■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 『국조상례보편(國朝喪禮補編)』
■ 『춘관통고(春官通考)』

■ [집필자] 송지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