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응(應)

서지사항
항목명응(應)
용어구분전문주석
상위어의물(儀物)
관련어독(牘), 무무(武舞), 상(相), 순(錞), 아(雅), 요(鐃), 탁(鐲), 탁(鐸)
분야문화
유형물품 도구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조선전기 궁중 의식에서 무무(武舞)를 춤출 때 사용하던 의물(儀物).

[개설]
응(應)이라는 명칭은 큰 북[大鼓] 소리에 응하기 때문에 붙여진 것이라고 『악서(樂書)』에 설명되어 있다. 진고(晉鼓)를 치면 악생 한 사람이 오른손으로 응의 몽치[椎] 자루를 쥐고서 북소리에 따라 응을 내려 찧는 방식으로 연주하였다. 조선전기에 제례와 회례연에 수반되었던 무무의 주변에 놓였다가 조선후기에는 사용되지 않았다.

[연원 및 변천]
응은 세종대의 경우 궁중에서 각종 제사를 올릴 때 수반되었던 춤과 왕이 신하의 노고를 달래주기 위해 정월 초하루나 동짓날에 베풀던 잔치인 회례연(會禮宴)을 거행할 때 추는 춤의 하나인 무무에서 사용되었다. 응은 춤추는 사람의 주변에 놓이는 의물의 하나였다. 제례 의식에서는 한 개, 회례연에서는 두 개가 쓰였다. 즉 사직 제례의 춤 대열에서는 동쪽에 한 개, 종묘·풍운뇌우·선농·선잠·우사·문묘 제례의 춤 대열에서는 서쪽에 한 개가 설치되었다. 회례연에서는 무무의 동쪽과 서쪽에 각각 한 개씩 합이 두 개 진설되었다[『세종실록』 오례 길례 서례 악기도설], [『세종실록』 오례 길례 서례 악현도].

『국조오례의서례(國朝五禮儀序例)』와『악학궤범(樂學軌範)』에 의하면 성종대에는 풍운뇌우·선농·선잠·우사·문묘 제례의 무무에만 응이 진설되어 있는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종묘제례와 회례연의 무무 주위에 응이 보이지 않는다는 점에서 세종대와 차별된다.

[형태]
『악학궤범』에 그려진 응의 모습은 기다란 막대기처럼 생겼으며 몸통 가운데 몽치가 꽂혀있는 형태이다. 성종대 사용되었던 응은 몸통 길이 3자 9치 3푼, 몸통 사면 모서리 5치 9푼, 몸통의 관 두께 6푼, 구멍 지름 2치 2푼, 밖으로 나온 몽치 길이 3치이다. 한편, 중국 문헌인 『주례(周禮)』에는 응의 길이가 6자 5치이고, 『주례도(周禮圖)』에는 그 형태가 원형이고, 안팎 모두 붉은색이었다고 서술되어 있다.


[참고문헌]
■ 『주례(周禮)』
■ 『주례도(周禮圖)』
■ 『악서(樂書)』
■ 『국조오례의서례(國朝五禮儀序例)』
■ 『악학궤범(樂學軌範)』

■ [집필자] 이정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