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경(磬)

서지사항
항목명경(磬)
용어구분전문주석
관련어와경(瓦磬), 특경(特磬), 편경(編磬)
분야문화
유형물품 도구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돌, 흙 등을 재료로 삼아 ‘ㄱ’자 모양으로 만든 타악기.

[개설]
경(磬)은 일반적으로 특경(特磬), 편경(編磬)에 매달아 사용한다.

[연원 및 변천]
경은 1116년(고려 예종 11)에 중국 송나라에서 대성아악(大晟雅樂)이 전래될 때 돌로 제작된 것이 유입되어 사용되었다. 그러나 시간이 경과하면서 낡거나 파손되어 새로운 경이 필요했다. 그런데 경을 중국에서 수입하기가 어려웠고, 경의 재료로 쓰기에 적합한 맑은 소리가 나는 돌을 발견하지 못해 국내 제작도 힘들었다. 결국 대체물로 기와 재료인 양질의 점토로 구워 만든 와경(瓦磬)을 쓰는 경우가 빈번해졌고, 이러한 상황이 세종 초기까지 지속되었음을 박연(朴堧)의 상소를 통해 확인할 수 있다[『세종실록』 12년 2월 19일]. 그러나 경기도 남양에서 좋은 소리가 나는 돌을 발견하였고[『세종실록』 7년 8월 26일], 이를 제련하여 경을 만드는 데 성공하게 되면서[『세종실록』 9년 5월 15일] 국내 생산이 가능해졌다.

경의 제조와 수급 문제가 세종대에 해결되고 그 기술이 조선후기까지 전승됨으로 인해 전란, 화재 등의 요인으로 경이 소실될 때마다 지속적으로 경을 만들어 보충하여 궁중음악 연주에 사용하였다.

[형태]
‘ㄱ’자 모양으로 생겼으며 악기틀에 약간 기울게 걸어놓는다.



[참고문헌]
■ 『고려사(高麗史)』
■ 『악학궤범(樂學軌範)』
■ 『인정전악기조성청의궤(仁政殿樂器造成廳儀軌)』
■ 『경모궁악기조성청의궤(景慕宮樂器造成廳儀軌)』
■ 『사직악기조성청의궤(社稷樂器造成廳儀軌)』
■ 『대한예전(大韓禮典)』
■ 송지원, 「조선시대 궁중의 악기제작 관련 儀軌 고찰」, 『규장각 소장 분류별 의궤 해설집』, 규장각, 2005.
■ 송혜진, 「세종대 음악정책의 전개 양상과 특성」, 『韓國雅樂史硏究』, 민속원, 2000.

■ [집필자] 이정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