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료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장의(掌醫)

서지사항
항목명장의(掌醫)
용어구분전문주석
관련어궁관(宮官), 내명부(內命婦), 세자궁(世子宮), 여관(女官)
분야정치
유형직역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자료문의 연락처: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정의]
내명부(內命婦) 종9품 궁관(宮官).

[개설]
내명부의 세자궁 소속 궁관이다. 내명부는 내관(內官)과 궁관으로 구성된 조직인데, 세자인 동궁(東宮)을 위한 조직은 품계를 왕보다 낮추어서 마련하였다. 이 중 내관은 세자의 후궁이며 궁관은 여관(女官)으로 지칭되던 궁녀 조직이다. 장의(掌醫)는 종9품 궁관으로 세자궁의 의약(醫藥)에 관한 직무를 담당하였다. 종9품 장식(掌食)과 함께 장찬(掌饌)을 상관으로 하여 직무를 수행하였다.

[담당직무]
장의의 주요 임무는 세자와 세자빈에게 올려지는 약에 관한 일을 담당하는 것이었다. 세자궁에서 소용되는 약재는 내의원(內醫院)에서 내어준다[『숙종실록』 44년 7월 21일]. 장의는 이것을 받아와서 약을 달이고, 복용할 수 있도록 올리는 것이 직무였다. 내명부 전약(典藥)이 담당하였던 직무를 세자궁에서는 장의가 하였던 것이다.

[변천]
동궁의 내관 제도는 내명부 내관과 궁관 제도가 만들어진 후인 1430년(세종 12)에 마련되었다. 이때 종8품 1명으로 정해졌다[『세종실록』 12년 윤12월 16일]. 『경국대전(經國大典)』에는 관품이 종9품으로 변경되어 법제화되었다.

[참고문헌]
■ 『경국대전(經國大典)』
■ 한우근 외 역;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인문연구실 편, 『(역주)경국대전: 주석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7.

■ [집필자] 임혜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