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료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선부(膳夫)

서지사항
항목명선부(膳夫)
용어구분전문주석
분야정치
유형직역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자료문의 연락처: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정의]
조선왕조 때 사옹원(司饔院)에 소속된 종7품 잡직(雜職)의 직명(職名).

[개설]
선부(膳夫)란 진선(珍膳)을 만드는 남자 책임자를 말한다. 1485년(성종 16)에 완성된 『경국대전(經國大典)』에는 1원(員)으로 규정하였다.

『주례(周禮)』에 의하면 총재(冢宰) 직할로 궁중 음식을 전담하는 선부가 있었다. 선부 밑에는 전사(甸師)·포인(庖人)·팽인(烹人)·수인(獸人)·어인(漁人)·별인(鼈人)·석인(腊人)·주인(酒人)·장인(漿人)·능인(凌人)·해인(醢人)·혜인(醯人)·염인(鹽人)이 포진하여 철저히 분업화하면서 8진 요리라고 불리는 진용팔물(珍用八物)을 만들어냈다. 재부(宰夫)의 아래 직급이며 조부(調夫)의 위 직급이다.

[담당직무]
선부는 식사 담당관의 우두머리[長]이다. 사옹원에 소속되어 있으면서 문소전(文昭殿) 수라간과 대전(大殿)의 다인청(多人廳)에서 음식물을 맡아 일을 하는 자비인[差備人]들을 관리, 감독 하였다.

재부·선부·조부(調夫)·임부(飪夫)·팽부(烹夫) 등을 숙수(熟手)라고도 불렀다. 이들은 사옹원에서 근무하는 자들이지만, 국가적 행사인 연향 등이 있을 때에는 내자시(內資寺)·예빈시(禮賓寺)·내섬시(內贍寺)·사축서(司畜署) 등에 차출되어 자비인들을 지휘, 감독하였다.

[변천]
사옹원은 1392년(태조 1)에 설치한 사옹방(司饔房)을 1467년(세조 13)에 개편한 이름이다[『세조실록』 13년 4월 4일]. 1895년(고종 32)에 궁내부 소속으로 둔 전선사(典膳司)로 고칠 때까지 유지되었는데 전선사 이후 수라간에 두었던 숙수들의 제도가 유명무실하게 됨에 따라 사옹원의 잡직 제도도 없어졌다[『고종실록』 32년 4월 2일].

[참고문헌]
■ 『경국대전(經國大典)』
■ 『주례(周禮)』
■ 『진연의궤(進宴儀軌)』
■ 김상보, 『조선시대의 음식문화』, 가람기획, 2006.
■ 한우근 외 역; 한국정신문화연구원 인문연구실 편, 『(역주)경국대전: 주석편』, 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7.

■ [집필자] 김상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