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료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필(畢)

서지사항
항목명필(畢)
용어구분전문주석
상위어가례(嘉禮), 군례(軍禮), 길례(吉禮), 흉례(凶禮)
관련어노부(鹵簿), 발인반차(發引班次), 의장(儀仗)
분야왕실
유형물품 도구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자료문의 연락처: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정의]
조선시대 노부(鹵簿) 행렬에 편성된, 녹색 모시를 씌운 의장용 도구.

[개설]
노부는 왕이 외부로 행차할 때 동원되던 의장(儀仗) 행렬을 말한다. 궁궐 안에서 시행될 때는 ‘의장’이라 하였다. 왕의 노부는 그 규모에 따라 대가(大駕)·법가(法駕)·소가(小駕)로 구분되었다. 왕 이외에 왕비·왕세자·왕세손 등의 의장도 있었다. 노부 행렬에는 통치자의 권위를 상징하는 각종 깃발·부채·덮개·병기·악기 등 다양하고 화려한 의장 용품이 사용되었다. ‘필’은 이러한 의장 용품 가운데 하나로, 녹색 모시를 씌운 붉은색 몽둥이를 가리킨다. 조선후기에는 남색 보자기를 씌웠다.

[연원 및 변천]
대가노부와 법가노부에 1개씩 편성되었다. 다른 의장과 함께 왕의 가마인 어연(御輦) 앞에 진열되었는데, 필은 오른쪽에, 한(罕)은 왼쪽에 짝을 이루어 배치되었다. ‘한’은 청색 모시를 씌운 검은색 의장용 장대를 말한다. 필과 한을 든 군사는 홍의(紅衣)에 피모자(皮帽子)를 착용하였다. 국장 의례를 거행할 때에 발인반차(發引班次) 행렬에도 필 1개, 한 1개가 짝을 이루어 편성되었다.

[형태]
붉게 칠한 장대의 상단에 네모진 얇은 판을 대고, 그 위를 녹색 모시실로 만든 수건으로 덮는다. 수건의 하단을 다시 녹색 모시 띠로 묶고, 그 양쪽 끝을 드리운다.


[참고문헌]
■ 『국조오례서례(國朝五禮序例)』
■ 김지영, 「조선후기 국왕 행차에 대한 연구-의궤반차도와 거동기록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5.

■ [집필자] 허태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