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시보(諡寶)

서지사항
항목명시보(諡寶)
용어구분전문주석
동의어시책(諡冊), 시책보(諡冊寶)
관련어흉례(凶禮)
분야왕실
유형물품 도구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왕의 시호(諡號)를 새긴 도장.

[개설]
시보는 조선시대의 국가 의례에서 흉례(凶禮) 의식인 ‘상시책보의(上諡冊寶儀’, 즉 선왕(先王)의 영전(靈前)에 시책(諡冊)과 시보(諡寶)를 올리는 의례에 사용되었다. 해당 의례에서 시보는 시책과 함께 빈전(殯殿)에 안치된 선왕의 영좌(靈座)에 바쳐졌고, 시호와 시책 내용이 낭송되었다. 역대의 전례서 및 의궤 등에 관련 도설이 다양하게 수록되어 있는데, 시기별로 시보의 재질과 규격 및 시보에 새겨진 시호의 내용이 조금씩 달랐다.

[형태]
영조대의 『국조상례보편(國朝喪禮補編)』에 수록된 시보의 도설을 대표적으로 살펴보면, 놋쇠인 황동(黃銅)으로 주조하고 도금(鍍金)하였으며, 사방의 길이는 3치 5푼(약 11㎝), 두께는 8푼(약 2.4㎝)이고, 도장 위에 붙어 있는 거북 장식의 높이는 1치 5푼(약 4.5㎝)이라고 한다. 시보 끝부분에는 붉은색 실[紅絲]로 인끈[綬]을 만들어 달았다. 시보에 시호를 새기는 작업은 예조(禮曹)에서 주관하였는데, 예조에서 국장 관련 업무를 주관하는 임시 기구인 국장도감(國葬都監)에 고한 후 서사관(書寫官)을 국장도감에 파견하여 시호를 써서 새기도록 하였다. 황동 외에 구리쇠인 숙동(熟銅)과 아연인 함석(含錫)으로 주조하고 도금하기도 하였다.


[참고문헌]
■ 『국조상례보편(國朝喪禮補編)』
■ 『춘관통고(春官通考)』

■ [집필자] 박봉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