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신탑(神榻)

서지사항
항목명신탑(神榻)
용어구분전문주석
관련어길례(吉禮), 신위(神位), 흉례(凶禮)
분야왕실
유형물품 도구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각종 국가 의례에서 신위(神位)를 올려놓는 상.

[개설]
조선시대 국가 의례의 길례(吉禮), 흉례(凶禮) 의식에서 신위를 올려놓는 상이다. 다양한 크기에 외형도 조금씩 달랐다고 한다.

[형태]
역대 전례서와 의궤에는 신탑의 도설과 규격이 다양하게 수록되어 있다. 정조대의 『춘관통고(春官通考)』에 수록된 신탑을 기준으로 살펴보면, 길이는 7자 4푼(약 2.13m), 넓이는 2자 9치(약 88㎝), 높이는 2자 7치 3푼(약 83㎝)이고, 난간의 높이는 6치 6푼(약 20㎝)이라고 한다. 나무로 된 몸체에 왜의 물감으로 짙은 빨강색인 왜주홍(倭朱紅)을 칠하고, 신탑 위에 꽃무늬 장식을 한 돗자리인 화석(花席)을 깔고, 화석의 위에 자주색의 비단 요를 깔며, 비단 요 위에 다시 화석을 깔고, 그 위에 신위를 담아 놓을 신의(神椅)를 봉안한다. 길례와 흉례 의식에서 사용되는 신탑의 규격과 외형은 조금씩 달랐다고 한다.


[참고문헌]
■ 『춘관통고(春官通考)』

■ [집필자] 박봉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