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상준(象尊)

서지사항
항목명상준(象尊)
용어구분전문주석
상위어준(尊), 준뢰(尊罍)
관련어대준(大尊), 명수(明水), 범제(泛齊), 사주(事酒), 산뢰(山罍), 산준(山尊), 삼주(三酒), 석주(昔酒), 앙제(盎齊), 예제(醴齊), 오제(五齊), 착준(著尊), 청주(淸酒), 체제[緹齊], 침제(沈齊), 현주(玄酒), 호준(壺尊), 희준(犧尊)
분야왕실
유형물품 도구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국가 제사 의례에 사용된 제기(祭器)로 표면에 코끼리를 그려 넣거나 코끼리 모양으로 만든 술동이.

[개설]
한국과 중국에서는 고래로부터 각종 국가 제례에서 헌관(獻官)이 신위 앞에 술잔을 올리는 의식인 작헌(酌獻)의 절차에서 신령에게 올리기 위해 사용되는 술로서 탁주인 범제(泛齊), 단술인 예제(醴齊), 흰빛이 도는 앙제(盎齊), 붉은빛이 도는 체제[緹齊], 찌꺼기가 가라앉는 침제(沈齊) 등의 오제(五齊)를 담았고, 제사 참석자들이 나눠 마시는 용도로 사용되는 3가지 술[三酒], 즉 일이 있을 때마다 빚은 술로 제사의 집사자들이 마시는 사주(事酒), 겨울에 빚어 이듬해 봄까지 익힌 석주(昔酒), 겨울에 빚어 이듬해 여름까지 익힌 청주(淸酒) 등을 담아 두는 데 사용되었다.

[연원 및 변천]
상준은 중국 주나라 시대부터 사용된 술동이로서, 주로 희준(犧尊), 산뢰(山罍)와 짝을 이루어 진설되었다. 봄, 여름, 가을, 겨울과 동지(冬至) 뒤 세 번째 미일(未日)인 납일(臘日) 등 오향제(五享祭)를 거행하는 큰 제례 가운데 봄·여름 제사에 2병씩 진설되었는데, 그중 1병에는 범제, 예제, 앙제를 담았고, 다른 1병에는 삼주(三酒) 중 명수(明水)를 담았다. 명수는 달밤에 거울로 달을 비춰 맺힌 이슬을 모아 만든 맑은 물이라고 한다.

또한 이보다 작은 제례에서는 산뢰와 짝을 이루거나, 상준만 1~2병 진설되었는데, 이 경우에도 앙제와 명수를 담았다. 다만 드물게 희준 외의 준과 짝을 이루거나, 앙제 대신 오제 중에서 두 번째로 빨리 익는 비교적 탁한 술인 예제, 또는 삼주 중에서 가장 늦게 익고 가장 맑은 술인 청주, 맑고 깨끗한 물로 대개 정화수(井華水)라고 하는 현주(玄酒) 등을 담기도 했다.

[형태]
코끼리는 중국 한나라 때에, 지금의 광둥과 광시 성, 그리고 베트남 북부 지역에 걸쳐 있던 나라인 남월(南越)에서 생산되는 큰 짐승으로 여름에 어울리기 때문에, 코끼리를 본뜬 상준을 제작하여 여름 제사에 주로 사용하게 되었다고 한다. 조선시대의 국가 전례서에는 2종류의 상준의 그림과 규격이 수록되어 있다. 『세종실록』 「오례」 길례서례(吉禮序例)의 제기도설(祭器圖說)에는 표면에 코끼리를 새겨놓은 상준이 수록되어 있는데, 이는 북송대의 『사림광기(事林廣記)』에 수록된 내용을 계승한 것이다. 그에 따르면 이 유형의 상준은 기구(器口)의 지름이 1자 2치(약 33㎝), 밑바닥의 지름은 8치(약 24㎝), 위아래의 구멍 지름[空徑]은 1자 5푼(약 32㎝), 기물의 받침다리[足]의 높이는 2치(약 6㎝)라고 한다.

한편 성종대의 『국조오례서례(國朝五禮序例)』와 정조대의 『춘관통고(春官通考)』에는 코끼리 모양의 상준의 그림과 규격이 수록되어 있는데, 이는 남송대에 주희(朱熹)가 지은 『소희주현석전의도(紹熙州縣釋奠儀圖)』에 수록된 내용을 계승한 것이다. 그에 따르면 이 유형의 상준은 무게가 11근(6.6㎏), 코끼리 발까지 합한 높이는 6치 8푼(약 21㎝), 기구의 직경은 1치 8푼(약 5.5㎝), 코끼리 귀의 너비는 1치 2푼(약 4㎝), 귀의 길이는 1치 9푼(약 6㎝), 몸체 내부 공간의 깊이는 4치 9푼(약 15㎝)이라고 한다.



[참고문헌]
■ 『국조오례서례(國朝五禮序例)』
■ 『춘관통고(春官通考)』

■ [집필자] 박봉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