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천하태평기(天下太平旗)

서지사항
항목명천하태평기(天下太平旗)
용어구분전문주석
상위어기휘(旗麾), 의장(儀仗)
관련어군왕천세기(君王千歲旗)
분야왕실
유형물품 도구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조선시대의 의장물 중 하나로 둥근 원 안에 ‘천하태평(天下太平)’이라는 글을 세로로 적어 넣은 사각형의 기(旗).

[개설]
조선에서 왕의 의장은 그 규모에 따라 대장(大仗), 반장(半仗), 소장(小仗)으로 나뉘는데, 천하태평기는 대장과 반장에서만 1기가 사용되었고, 소장에는 사용되지 않았다. 천하태평기는 노부(鹵簿)의 행렬 시나 전정(殿庭)에 배치될 때 주로 군왕천세기(君王千歲旗)와 짝하여 사용되었다. 깃발의 문구가 드러내듯 이 기는 천하가 왕의 다스림으로 태평해지기를 기원하는 뜻을 담은 의장물이었다.

[연원 및 변천]
중국 의장의 변천을 살필 수 있는 『통전(通典)』이나 『문헌통고(文獻通考)』 등에는 천하태평기의 존재가 보이지 않는다. 중국의 제도를 본떠 만든 고려의 의장물 중에서는 천하태평기를 확인할 수 있는데, 바로 법가노부(法駕鹵簿)와 순행영접노부(巡幸迎接鹵簿), 그리고 연등회노부(燃燈會鹵簿) 중에 천하태평대기(天下太平大旗)가 쓰이고 있다. 고려의 노부와 의장에서 천하태평기는 주로 사해영청기(四海永淸旗)와 짝하여 사용되었다.

조선 개국 이후 의장의 정비 과정에서 천하태평기는 의장기로 존속한 반면 사해영청기는 의장기에서 제외되었고, 군왕천세기가 그 자리를 대신하였다. 추측컨대 제후국을 표방한 조선에서 황제나 쓸 수 있는 ‘천하’ 및 ‘사해’라는 표현을 전부 의장물로 구현하기는 상당한 부담이 있었던 것이고, 이에 따라 천하태평기만을 의장물로 남긴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천하태평기는 가장 규모가 큰 대장의장·대가노부(大駕鹵簿) 및 그다음 규모인 반장의장·법가노부에서 각각 1기씩만 사용되었고, 가장 작은 규모의 소장의장·소가노부(小駕鹵簿)에서는 사용되지 않았다.

[형태]
조선의 의장물에 대한 규정을 담고 있는 『세종실록』 「오례」 및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를 참조해 보면, 천하태평기는 사각 깃발에 불꽃 모양으로 장식한 화염각(火炎脚)을 달고 있었다. 기 내부는 흰 바탕에 둥근 원을 그려 넣고, 그 안에 ‘천하태평’ 네 글자를 세로로 써 넣었으며, 주변을 청색·적색·황색·백색 등으로 채색하였다.

[생활·민속 관련 사항]
‘천하태평’이란 어휘는 통치자에게는 이상적 정치 실현의 의지를 드러낼 때, 민간에서는 보다 평안한 삶을 영위하고픈 염원을 나타낼 때 자주 사용하였다. 천하태평기는 왕의 여러 의장물 중에서도 상징적 의미를 가장 직접적인 형태로 드러내고 있다는 점에서 독특하다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 『고려사(高麗史)』
■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 『통전(通典)』
■ 『문헌통고(文獻通考)』
■ 백영자, 『조선시대의 어가행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1994.
■ 강제훈, 「조선전기 국왕 의장제도의 정비와 상징」, 『사총』77, 2012.

■ [집필자] 강제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