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료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용마기(龍馬旗)

서지사항
항목명용마기(龍馬旗)
용어구분전문주석
상위어노부(鹵簿), 의장(儀仗)
관련어대가(大駕), 법가(法駕), 소가(小駕)
분야왕실
유형물품 도구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자료문의 연락처: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정의]
조선시대 왕의 행차나 궁궐 행사에 왕권을 상징하기 위해 사용된 의장기.

[개설]
용마는 현명한 군자가 통치할 때 등장하는 신령한 동물인데, 용마기는 이를 상징하는 의장기이다. 왕의 행차에 사용되는 노부(鹵簿)의 대가(大駕), 법가(法駕), 소가(小駕)에 모두 사용되며, 왕비와 왕세자 의장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연원 및 변천]
용마는 복희씨(伏羲氏)가 다스릴 때, 황하(黃河)에서 팔궤도를 지고 나왔다는 신령한 짐승으로 백택(白澤)과 쌍을 이루는 상징물이다. 신마(神馬)로 이해되는데, 현명한 통치자가 있을 때, 등장하는 존재이다.

『세종실록』 「오례」에 그려진 용마는 몸은 말 모양이면서 다리는 용의 형상으로 네 개의 발톱을 가지고 있다. 머리는 말의 형태이면서 뿔이 있고, 겨드랑이에 날개가 있는데, 전체적으로 전설상의 신수(神獸)와는 모습이 다르다. 그렇더라도 현명한 군주가 있을 때 용마가 나타난다는 전설에 근거하여 신수를 상징한 것은 틀림없다.

용마기는 왕에게만 적용되는 의장기이고, 대가와 법가, 소가 편성에 모두 사용되지만, 대가와 법가에서는 좌우에 하나씩 2기가 배치되고, 소가에서는 1기만 배치되는 차이가 있다.

[형태]
『세종실록』 「오례」의 용마기는 기의 형태만을 설명하고 있다. 백색의 바탕에 용마와 운기를 그리고, 청색·적색·황색·백색 등 네 가지의 빛깔로 채색을 한다. 그리고 화염각(火炎脚)이 있다[『세종실록』 오례 가례 서례 노부 노부의 예2]. 이러한 설명은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에도 그대로 수정 없이 수록되었다.

중국에서 용마를 형상화할 때 몸통에 팔궤를 그리거나, 비늘을 표현하는데, 조선의 용마는 이와는 모습이 일치하지 않는다. 애초에 물로부터 나왔다는 전설을 가진 동물이기 때문에 용의 모습을 많이 반영한 형태로 형상화된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 『고려사(高麗史)』
■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 『춘관통고(春官通考)』
■ 『통전(通典)』
■ 『문헌통고(文獻通考)』
■ 『대명집례(大明集禮)』
■ 『제사직장(諸司職掌)』
■ 『삼재도회(三才圖會)』
■ 袁珂, 『중국신화대사전』, 華夏出版社, 1998.
■ 강제훈, 「조선전기 국왕 의장제도의 정비와 상징」, 『사총』77, 2012.
■ 김지영, 「조선시대 典禮書를 통해 본 御駕行列의 변화」, 『한국학보』31-3, 2005.

■ [집필자] 강제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