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고자기(鼓字旗)

서지사항
항목명고자기(鼓字旗)
용어구분전문주석
상위어기휘(旗麾), 의장(儀仗)
관련어금자기(金字旗), 영자기(令字旗)
분야왕실
유형물품 도구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조선의 의장물 중 하나로 ‘고(鼓)’ 자를 써 넣어 왕의 군 지휘권을 표현한 기.

[개설]
군에 대한 명령권은 군주의 고유 권한인데, 고자기는 이러한 군왕의 군령권을 드러내는 의장기 중 하나였다. 본래 고대 중국과 한반도에서 북[鼓]은 군의 진군을 명령하는 도구였고, 반대로 퇴각을 의미할 경우는 징[金]을 사용하였다. 고자기는 이러한 북의 기능을 기로 표현하여 왕의 군령권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의장기였다.

[연원 및 변천]
조선의 의장은 고려시대의 의장을 참조하고, 여기에 중국 역대 제도 및 명나라의 의장제를 참고하여 만들어졌다. 그러나 고려 의종대의 의장을 기록한 『고려사(高麗史)』에서는 고자기의 존재가 보이지 않고, 중국의 전적에서도 고자기의 존재가 보이지 않아 정확한 유래를 확인하기 어렵다.

[형태]
조선의 의장물에 대한 규정을 담고 있는 『세종실록』 「오례」 및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를 참조해 보면, 고자기는 붉은 바탕의 사각기 안에 ‘고(鼓)’ 자를 써 넣었다. 고자기는 왕의 의장(儀仗) 및 노부(鹵簿)로 활용될 때 항상 영자기(令字旗) 및 금자기(金字旗)와 함께 사용되었는데, >영(令) 자를 써넣은 영자기는 군령권 전체를 드러내는 기였고, 금(金) 자를 써넣은 금자기는 고자기와 반대되는 퇴각명령을 형상화한 것이었다. 그러나 고자기 등의 깃발은 군의 지휘권을 상징하는 장치로만 사용되었고, 실제 군의 지휘 기능은 다른 장치들을 통해 이루어진 것으로 보인다. 고자기는 의장 규모와 상관없이 항상 1기만 사용되었다. 또 대한제국 의장기 중에도 금고기가 있는데 모양은 삼각형의 형태였다.

[생활·민속 관련 사항]
기는 비단 군대나 의장뿐만이 아니라 일반 민의 생활에서도 흔하게 사용되던 것이었다. 특히 마을공동체에서 공동으로 노동이나 놀이를 할 때 이러한 기들이 많이 사용되었다. 다만, 고자기 등은 왕의 군령권을 표현하는 것이니만큼, 일반인들의 생활에서는 사용되지 않았다.

[참고문헌]
■ 『고려사(高麗史)』
■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 『통전(通典)』
■ 『문헌통고(文獻通考)』
■ 백영자, 『조선시대의 어가행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1994.
■ 강제훈, 「조선전기 국왕 의장제도의 정비와 상징」, 『사총』77, 2012.

■ [집필자] 강제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