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잔(盞)

서지사항
항목명잔(盞)
용어구분전문주석
관련어만루대잔(萬鏤臺盞), 속제(俗祭), 작(爵), 작헌(酌獻), 화룡사준(畵龍沙尊)
분야왕실
유형물품 도구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조선시대 국가의 오례 중 가례(嘉禮), 빈례(賓禮), 흉례(凶禮)의 여러 의식에서 사용되는 술잔.

[개설]
잔은 속제(俗祭)를 거행하는 과정에서 잔을 올리는 헌관(獻官)이 신위 앞에 술잔을 올리는 작헌(酌獻) 절차 의식에 사용되는 술잔이다. 진흙으로 구운 뒤 몸체 표면에 용을 그려 넣은 술병인 화룡사준(畵龍沙尊)에 담아놓은 술을 잔에 따라 부은 뒤 신위 앞에 바쳤다. 속제는 설날·한식·단오·추석·동지·동지 후 세 번째 미일인 납일(臘日) 등 속절(俗節)에 지내는 제사를 지칭한다. 다만, 속제 중에서도 산릉 제사에서는 잔 대신 작(爵)을 사용하였다.

[연원 및 변천]
정확한 연원은 알 수 없다. 다만, 조선시대 다수의 의례에서 잔이 중요하게 사용되었다는 것을 주요 예전(禮典) 기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1474년(성종 5)에 편찬된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에 처음으로 잔의 도설(圖說)이 확인된다. 이후 1788년(정조 12)에 편찬된 『국조오례통편(國朝五禮通編)』과 『춘관통고(春官通考)』, 대한제국 시기의 『대한예전(大韓禮典)』 등 역대 전례서 및 일부 의궤에도 그림과 설명이 수록되어 있다.

[형태]
길고 가는 목과 볼록한 몸체, 몸체 아래의 길고 가는 받침다리[足]와 덮개 등으로 구성되었다. 몸체 전체에 빽빽하게 무늬가 새겨져 있어서 ‘만루대잔(萬鏤臺盞)’이라고도 칭한다.


[참고문헌]
■ 『국조오례서례(國朝五禮序例)』
■ 『국조오례통편(國朝五禮通編)』
■ 『춘관통고(春官通考)』
■ 『대한예전(大韓禮典)』

■ [집필자] 이현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