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작(爵)

서지사항
항목명작(爵)
용어구분전문주석
관련어뢰(罍), 오례(五禮), 이(彝), 작헌(酌獻), 준(尊), 헌관(獻官)
분야왕실
유형물품 도구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조선시대 국가의 오례인 길례(吉禮), 가례(嘉禮), 군례(軍禮), 빈례(賓禮), 흉례(凶禮)의 여러 의식에서 술항아리에 담겨 있는 술을 받는 술잔.

[개설]
각종 제사 의식에서 헌관(獻官)이 신위 앞에 술잔을 올리는 작헌(酌獻) 의식을 거행하는데 그 술잔을 ‘작’이라고 한다. 새[雀]의 모양을 본떠서 만들었기 때문에 ‘작(爵)’이라고 이름이 붙여졌다.

[연원 및 변천]
중국 고대부터 있었던 것으로 정확한 연원은 알 수 없다. 조선시대의 제사 의례들이 작헌 절차를 진행하였고, 작헌 절차가 포함된 의례에서는 작이 중요하게 사용되었다. 1412년(태종 12)에 태종이 태조와 신의왕후(神懿王后)의 혼전(魂殿)문소전(文昭殿)에서 제사를 지낸 후 여러 신하들과 잔치하면서 비로소 작을 9번 올리는 절차를 사용하였다. 태종은 문소전 제례 후 예조(禮曹)에서 구작(九爵)의 예를 아뢰자, 작이 작으면 9번 작헌하더라도 간혹 취하지 않는데, 크게 취하지는 않더라도 취하지 않을 수는 없기 때문에 큰 작을 만들도록 명하였다[『태종실록』 12년 1월 1일].

1451년(문종 1)에 편찬된 『세종실록』 「오례」에 처음으로 작의 도설(圖說)이 확인된다. 이후 성종대의 『국조오례서례(國朝五禮序例)』, 정조대의 『춘관통고(春官通考)』, 대한제국 시기의 『대한예전(大韓禮典)』 등 역대 전례서와 여러 의궤에 ‘작’의 도설이 수록되어 있다.

[형태]
기구(器口)의 앞쪽에 술을 따르는 부리[流]가 길게 돌출되어 있고, 그 반대쪽으로는 꼬리[尾]가 살짝 위를 향한 채 뻗어 있으며, 부리와 꼬리 사이에는 두 개의 짧은 기둥[柱]이 솟아 있다. 이 기둥은 술잔에 담긴 술을 모두 마셔버리지 않도록 경계하는 의미라고 한다.

남송대 주희(朱熹)가 지은 『소희주현석전의도(紹熙州縣釋奠儀圖)』의 기록에 의하면, 작의 무게는 1근 8냥(900g), 두 기둥까지 합한 전체 높이는 8치 2푼(약 25㎝), 술을 담는 내부 공간의 깊이는 3치 3푼(약 10㎝), 기구의 길이는 6치 2푼(약 19㎝), 너비는 2치 9푼(약 9㎝)이라고 한다. 작의 내부에 담을 수 있는 술의 용량은 1되(약 1.8ℓ)이며 작헌할 때에는 받침[坫]으로 받친다.


[참고문헌]
■ 『국조오례서례(國朝五禮序例)』
■ 『춘관통고(春官通考)』
■ 『대한예전(大韓禮典)』
■ 『소희주현석전의도(紹熙州縣釋奠儀圖)』

■ [집필자] 이현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