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복주작(福酒爵)

서지사항
항목명복주작(福酒爵)
용어구분전문주석
상위어제기(祭器)
관련어복주(福酒), 작(爵)
분야왕실
유형물품 도구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국가 제사 의식에서 복주(福酒)를 담는 술잔.

[개설]
복주는 각종 제사 및 혼전(魂殿)에서 의례를 거행할 때에 신에게 올린 술을 뜻한다. 이 술을 참여자들이 나눠 마시는 의식을 음복(飮福)이라고 하는데, 이때 이 복주를 담는 술잔을 복주작이라고 한다.

[연원 및 변천]
국가 의례에서 복주작을 사용하는 것에 대한 기록은 『세종실록』 「오례」에 처음으로 등장한다. 이후 성종대의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 1788년(정조 12)에 편찬된 『국조오례통편(國朝五禮通編)』과 『춘관통고(春官通考)』, 대한제국 시기의 『대한예전(大韓禮典)』 등 역대 전례서 및 의궤에 복주작 기록이 남아 있으나 도설(圖說)은 전하지 않는다.

혼전에서 복주작이 사용된 용례는 1419년(세종 1)에 태조의 성진(聖眞)을 봉안할 때[『세종실록』 1년 8월 8일], 태종의 비 원경왕후(元敬王后)의 혼전인 광효전(廣孝殿)에 봄·여름·가을·겨울 및 동지 후 세 번째 미일(未日)인 납일(臘日)에 왕이 직접 제사를 지낼 때[『세종실록』 3년 10월 5일], 세종의 비 소헌왕후(昭憲王后)의 혼전인 휘덕전(輝德殿)에서 사시대향(四時大享)과 납일제에 왕세자가 예식을 행하거나 관원을 보내 예식을 행할 때 등이다[『세종실록』 29년 3월 22일].

[형태]
현전하는 국가 전례서 및 의궤에 복주작에 대한 도설이 수록되어 있지 않으므로 형태를 알기 어렵다.

[참고문헌]
■ 『국조오례서례(國朝五禮序例)』
■ 『국조오례통편(國朝五禮通編)』
■ 『춘관통고(春官通考)』
■ 『대한예전(大韓禮典)』

■ [집필자] 이현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