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정의]
국가 제사 의례에 사용된 주요 제기(祭器)로서 메기장[黍]과 조[稷]를 담는 그릇.
[개설]
궤는 조선시대에 대부분의 국가 제사에서 메기장과 조를 담는 데 사용한 제기이다. 의궤에는 궤의 본체와 덮개가 함께 갖추어진 한 벌이라는 뜻으로 ‘궤개구(簋盖具)’라고 명명되어 있다. 궤는 쌀[稻]과 찰기장[粱]을 담는 제기인 보(簠)와 짝을 이루어 제사에 사용될 때는 동일 수량으로 진설되었고, 함께 쓰이는 경우가 많았으므로 보궤(簠簋)로도 불렸다.
[연원 및 변천]
정확한 연원을 알 수 없지만 중국 고대에서부터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방보원궤(方簠圓簋)’라 하여 네모[方]진 보와 둥근[圓] 모양의 궤가 음양(陰陽)의 조화를 이루는 동시에, ‘천원지방(天圓地方)’, 즉 하늘은 둥글고 땅은 네모나다고 하는 동양적 우주관을 함께 구현하도록 제작하여 사용되었다.
조선시대에는 세종대의 『세종실록』 「오례」에 처음으로 관련 도설(圖說)이 확인된다. 이후 성종대의 『국조오례서례(國朝五禮序例)』, 대한제국 시기의 『대한예전(大韓禮典)』 등 역대 전례서 및 다수의 의궤에 궤의 도설이 다양하게 수록되어 있다. 그 중 『국조오례서례』에 중국 고대의 삼례(三禮), 즉 『주례(主禮)』, 『의례(儀禮)』, 『예기(禮記)』 중『주례』의 주(注)에 ‘방보원궤(方簠圓簋)’라는 내용을 수록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적어도 궤의 연원은 『주례』의 편찬 시기까지 거슬러 올라간다고 볼 수 있다.
[형태]
중국 남송대의 주희(朱熹)가 지은 『소희주현석전의도(紹煕州縣釋奠儀圖)』의 궤의 외형 및 규격에 관한 설명에 따르면, 궤의 덮개까지 포함한 무게는 9근(5.4㎏), 덮개까지 포함한 전체 높이는 6치 7푼(약 20㎝), 곡식을 담는 몸체 내부의 깊이는 2치 8푼(약 8.5㎝), 내부의 너비는 5치(약 15㎝), 복부 윗부분의 길이는 7치 9푼(약 24㎝), 너비는 5치 6푼(약 17㎝)이라고 되어 있다. 조선시대에 궤를 제작할 때는 이 내용을 참고하거나 따랐다.
궤의 몸체는 원형이고, 몸체의 좌·우 측면에는 동물 머리 모양 등을 본뜬 귀[器耳]가 1개씩 붙어 있으며, 몸체 바로 아래에는 짧은 원통형의 받침다리[圈足]가 달려 있다. 원통형의 받침다리는 실제로는 다리 모양이 아니라 기물 몸체를 밑에서 떠받치는 얕은 받침대 모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