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정의]
대한제국기에 환구단에서 제천례(祭天禮)를 하면서 제사지낸 방위신의 하나로 네 군데의 큰 바다.
[개설]
대한제국기에는 제천례를 제정하여 하늘에 제사를 지냄으로써 국가와 황제의 위상을 높이고자 하였다. 이때 환구단에 황천상제(皇天上帝), 황지지(皇地祗), 일(日), 월(月), 풍운뇌우(風雲雷雨)와 북두칠성(北斗七星) 등 성신과 더불어 산천의 신인 오악(五岳), 오진(五鎭), 사해(四海), 사독(四瀆)의 신에도 제사를 지냈다.
[내용 및 특징]
신성한 산과 바다에 천지제사를 지내는 것은 황제의 고유 권한으로, 대한제국기에는 제천단인 환구단을 짓고 오악을 비롯하여, 오진, 사해, 사독에 제사를 지냈다.
환구단에서 오진은 1층에 모신 황천상제와 황지지, 2층에 모신 야명(夜明)과 대명(大明), 3층에 모신 운사(雲師), 우사(雨師), 풍백(風伯), 뇌백(雷伯), 북두칠성, 오성(五星), 이십팔숙(二十八宿), 주천성진(周天星辰)과 같은 자연신과 함께, 땅과 바다, 천을 관장하는 신인 오악, 사해, 사독과 함께 배향되었다.
이는 풍운뢰우와 산천의 신을 종향위로 삼은 갑오개혁기보다 더 많은 신들을 섬긴 것이다. 대명과 야명 외에도 성신으로 북두칠성, 오성, 이십팔수, 주천성신을 모셨으며, 오악, 오진, 사독, 사해와 함께 명산, 대천, 성황도 모셔 대상 신이 훨씬 세분화되었다. 이 가운데 풍운뇌우와 성황은 조선시대의 제천단이던 남단(南壇)에서 제향하던 것이었다.
오진을 포함해 오악, 사해, 사독을 모신 것은 달라진 공간 개념을 의미한다. 조선시대에는 악, 진, 해, 독 가운데에서 진이 빠져 있었다. 그러나 환구단에서 악, 진, 해, 독을 오방에 맞추어 체계화함으로써 오방 개념이 확실하게 적용되었다.
[변천]
환구제를 거행하였던 대한제국 초기에는 오악을 비롯하여 오진, 사해, 사독의 신위가 명목으로만 존재하고 있었을 뿐 각각에 해당하는 산천을 정한 것은 아니었다. 그러다 1903년(광무 7)에 이르러 각 지역의 해당 산천을 정하게 되었다. 이때 정해진 사해를 모신 지역은 동해는 양양(襄陽), 남해는 나주(羅州), 서해는 풍천(豊川), 북해는 경성(鏡城)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