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내불당(內佛堂)

서지사항
항목명내불당(內佛堂)
용어구분전문주석
동의어내도량(內道場), 내원(內院)
관련어흥천사(興天寺), 문소전(文昭殿), 경복궁(景福宮), 창덕궁(昌德宮), 간경회(看經會), 보공재(報供齋), 내원당(內願堂)
분야문화
유형개념용어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1448년(세종 30) 세종이 경복궁 내에 지은 왕실 불당.

[개설]
내불당(內佛堂)은 불교에 심취했던 세종이 경복궁 내 문소전(文昭殿) 옆에 지은 불당이다. 1504년(연산군 10) 내불당을 조선 왕실의 능침사찰인 흥천사(興天寺)로 옮기면서 사라졌다. 내불당이라는 명칭은 세종대에는 내원당(內願堂)과 혼용해서 사용되었고, 시기에 따라 내도량(內道場), 내원(內院) 등으로 불리기도 하였다. 하지만 대체로 세종이 설치한 불당을 지칭할 때는 내불당이라는 용어가 사용되었다.

[내용 및 특징]
세종이 즉위할 당시 창덕궁 안에는 문소전의 부속 불당으로 내원당이 있었다. 1433년(세종 15) 문소전이 경복궁으로 이전되면서 세종은 문소전 불당을 없애고 불상과 잡물을 흥천사로 옮기게 하였다[『세종실록』 15년 1월 30일]. 이에 따라 궁궐 내에는 더 이상 불당이 존재하지 않다가, 1448년(세종 30)에 다시 설치하도록 명하였다[『세종실록』 30년 7월 17일]. 당시 세종이 내세운 명분은 "내원당이 선왕이 세운 것이므로 효자의 도리로 이를 잇는다."는 것이었지만, 사실상 세종이 불교에 깊이 심취해 있었기 때문이다.

1448년에 발표된 내불당 건립 계획은 조정 신료들의 격렬한 반대를 불러일으켰다. 세종이 불당 건립을 발표한 7월 17일부터 8월 3일까지 약 보름간 대간에서 7차례, 집현전에서 3차례, 영의정이 1차례, 의정부와 육조 당상이 1차례, 생원 등이 1차례 상소를 올렸다. 신료들이 집요하게 반대해오자 세종은 수차례 반찬을 물리는 철선(撤膳)을 했고, 결국에는 세자를 대전으로 불러들여 선위(禪位)할 뜻을 비친 다음 임영대군의 집으로 이어(移御)하기까지 했다[『세종실록』 30년 8월 4일].

결국 세종의 완강한 의지로 인해 내불당은 1448년 11월에 완공되었는데, 불전과 승당·선실을 포함해 약 26칸 규모로 경복궁 문소전 옆에 세워졌다. 내불당에는 황금불상 3구가 안치되고 7명의 승려가 머물게 되었다. 세종은 내불당이 완성되자 5일 동안 이를 축하하는 경찬회(慶讚會)를 베풀었다[『세종실록』 30년 12월 5일].

이후 세종은 내불당에서 세자의 병을 치유하기 위한 약사재, 석가의 은혜에 보답하기 위해 공양을 올리는 보공재(報供齋), 경찬회 등 각종 크고 작은 법회를 개최했다.

[변천]
세종이 세상을 떠난 후 조정 대신들은 내불당의 철거를 끊임없이 요구하였으나, 문종과 단종은 선왕의 뜻을 받는다는 명분으로 내불당을 그대로 유지하였다.

심지어 호불 군주를 자처한 세조대에는 내불당 폐지 논란이 전혀 일어나지도 않았고, 내불당에서 법회가 빈번하게 이루어졌다. 1457년(세조 3) 10월에는 두 차례에 걸쳐 내불당에서 법석을 베풀었고, 1459년(세조 5)에는 부처님의 탄일을 경축하기 위하여 내불당에서 불경을 속으로 외는 법회인 간경회(看經會)를 열었다. 1464년(세조 10) 4월에 세종의 둘째 서자인 계양군(桂陽君) 이증(李璔)의 병이 위독해지자 내불당에서 기도를 올렸고, 1466년(세조 12) 9월에는 세조의 쾌유를 위해 이조 판서 한계희(韓繼禧) 등에게 명하여, 불교에서 병마를 구제하거나 장수를 기원할 때 지내는 공작기도재(孔雀祈禱齋)를 내불당에서 베풀었다.

예종 즉위년인 1468년에는 하늘에서 혜성이 나타나자 한계희와 도승지 권감(權堿)이 소격전(昭格殿)에서 하늘의 별 등에게 지내는 초제(醮祭)를 지내고 내불당에서 도량을 열도록 하라고 주청을 하기도 하였다. 또 1469년(예종 1) 1월에 왕의 발에 병이 난 지 오래되었다고 하여 내불당 등에서 기도를 올리게 하였고, 이 해 7월에 가뭄이 들자 조선 왕실의 주요 사찰인 흥천사, 원각사(圓覺寺), 흥덕사(興德寺) 등과 내불당에서 기우불사를 행하였으며, 11월에는 왕의 병이 위중하여 내불당에서 기도하게 하였다.

내불당은 1470년(성종 1)에 이르러 궁궐 밖으로 이전되었다. 성종이 즉위한 직후 사재감정(司宰監正) 임사홍이 "내불당은 왕궁의 내맥(來脈)에 영향을 주므로 철폐해야 한다."고 주장하자, 성종은 내불당을 장의동 화약고 옛터로 옮기게 하였다[『성종실록』 1년 2월 12일]. 이때 내불당을 없애고 원각사에 합치라는 요청도 있었으나 따르지 않았다. 또 예종의 능인 창릉(昌陵) 공사와 가뭄, 중국 사신 방문 등으로 백성의 부담이 크니 내불당 공사를 중지하라는 상소도 올라왔으나 내불당의 공사는 계속되었다. 1483년(성종 14) 8월에는 원각사 불단의 채단(彩段)이 도둑맞고 찢겨진 것을 계기로 내불당 등 선왕이 특별히 보호하는 사찰은 잡인들이 출입하는 것을 금지하는 조치가 내려지기도 했다[『성종실록』 14년 8월 16일].

연산군대에 이르러 내불당은 흥천사로 이전을 하였다. 1504년(연산군 10) 연산군은 장의사의 불상을 모조리 다른 곳으로 옮기게 하고 내불당을 흥천사로 옮기라고 명을 내렸다[『연산군일기』 10년 7월 29일].

1507년(중종 2) 1월에 중종이 선왕의 유지라는 명분으로 내불당을 다시 세웠다. 승정원에서는 "폐허가 된 자리에 지금 만일 내불당을 다시 세운다면 창건하는 것의 배는 될 것"이라며 반대했지만 중종은 끝내 흥천사 경내에 내불당을 다시 세웠다. 하지만 1510년(중종 5)에 흥천사가 유생들의 방화로 전소되면서[『중종실록』 5년 3월 28일], 내불당 또한 흥천사 사리각과 함께 전소되었다.

[참고문헌]
■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 권상로, 『한국사찰전서』, 동국대학교출판부, 1979.
■ 탁효정, 「조선시대 왕실원당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12.

■ [집필자] 탁현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