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분수승(焚修僧)

서지사항
항목명분수승(焚修僧)
용어구분전문주석
동의어향승(香僧)
관련어청정과욕(淸淨寡慾), 수행승(修行僧), 참선(參禪)
분야문화
유형개념용어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조선시대에 사찰에서 향불을 피우고 기도하는 소임을 맡은 승려.

[개설]
분수승(焚修僧)은 대개 사찰의 향각(香閣)에 거처하며 기도를 전담하였다. 조선시대에는 불교 사상 및 신앙을 원천적으로 탄압하였기 때문에, 기도나 수행에 전념하는 승려들은 사회적·경제적인 면에서 생산적이지 못하고 재물을 낭비한다는 구실로 비난을 받았다.

[내용 및 특징]
사찰에는 전체를 관리 감독하는 주지뿐 아니라 다양한 역할을 맡은 승려가 존재하는데, 분수승은 그 가운데 하나였다. 이들은 일반인들에게 보시를 권하는 권화승(勸化僧)이나 상가(喪家)를 찾아가 옷과 끼니를 해결하는 승려 등과는 다른 부류로 간주되었다. 조선시대 유학자들은 청정과욕(淸淨寡慾)을 근본으로 삼고 승당(僧堂)에서 수심(修心)하는 승려를 상급으로 인정하였는데, 분수승이 바로 여기에 속하였다.

조선시대의 유학자 관료들은 불교가 오랑캐의 도(道)이며 불도(佛徒)는 무위도식하는 쓸모없는 존재라고 인식하였다. 그리하여 국태민안과 왕실의 안녕을 빌었던 내원당(內願堂)정업원(淨業院)을 혁파하고 승려들을 환속시킬 것을 주장하였다. 예컨대 1412년(태종 12) 사간원에서는, 왕실 비구니원인 정업원이 하는 일도 없으면서 토지와 노비를 소유하고 매달 분수(焚修)의 요(料)를 받는다고 비판하였다[『태종실록』 12년 7월 29일].

성종대에는 영사(領事) 정창손(鄭昌孫)이, 원각사의 분수승에게 주는 여러 물건을 각 관청에서 상납하게 하라고 간언하였다[『성종실록』 9년 4월 21일]. 장령(掌令) 김제신(金悌臣) 역시, 하늘이 내린 성군인 세종조차 말년에 부처를 좋아하는 누(累)가 있었음을 지적하고는 그 뿌리를 끊을 것을 강조하였다. 그러나 성종은 분수승을 대접하는 것은 이미 선왕조(先王朝)부터 있어 온 일이므로 선례에 따라 지속할 뜻을 표명하였다.

[참고문헌]
■ 『동사강목(東史綱目)』
■ 『경국대전(經國大典)』
■ 『동문선(東文選)』
■ 이능화, 『조선불교통사』, 신문관, 1918.
■ 한우근, 『유교정치와 불교』, 한길사, 1993.
■ 권연웅, 「세조대의 불교정책」, 『진단학보』75, 진단학회, 1993.
■ 김상영, 「조선초기 사사혁파의 내용과 성격」, 『승가』19, 중앙승가대학교, 2003.

■ [집필자] 오경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