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중덕(中德)

서지사항
항목명중덕(中德)
용어구분전문주석
관련어선시(選試), 승과(僧科), 주지(住持), 승계(僧階), 대선(大選)
분야문화
유형직역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고려후기부터 조선전기까지 승과에 합격한 뒤 2년 이상 수행한 승려에게 내려 준 승계.

[개설]
조선시대에 선시(選試) 즉 승과(僧科)에 합격한 승려는 대선(大選)의 승계(僧階)를 받았는데, 대선에서 승차(陞差)하면 중덕이 되었다.

[담당 직무]
중덕은 사찰의 주지(住持)가 될 수 있었고[『성종실록』 9년 8월 4일], 흥천사(興天寺)흥덕사(興德寺)에 각각 설치된 선종도회소(禪宗都會所)교종도회소(敎宗都會所)의 장무(掌務)로 임명되기도 하였다[『세종실록』 7년 1월 25일]. 또한 선시의 감독 및 합격자 선발에 참여하기도 하였다[『세종실록』 6년 3월 27일].

[내용과 변천]
중덕은 고려후기에 승계가 변화하는 가운데 대선(大選)과 함께 새로 등장한 승계로, 조선시대에는 초기부터 사용되었다. 고려시대 말기를 거치면서 ‘대선-중덕’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승계가 정비된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 선시에 합격하면 대선이 되었는데, 중덕으로 승차하면 사찰의 주지가 될 수 있었다. 중덕에게 허용된 노비는 처음에는 7구(口)이다가[『태종실록』 14년 윤9월 27일] 나중에 10구로 늘었으며, 품질(品秩)은 6품(品)에 준하였다[『성종실록』 8년 1월 20일]. 이조에서 왕의 비답(批答)을 받은 뒤 대간(臺諫)서경(署經)을 거쳐야 중덕의 승계를 받을 수 있었다[『성종실록』 8년 3월 4일]. 대선에서 중덕을 거친 다음, 선종의 경우에는 ‘선사(禪師)-대선사(大禪師)-도대선사(都大禪師)’의 순으로 승차하였고, 교종은 ‘대덕(大德)-대사(大師)-도대사(都大師)’의 순서로 승차한 것으로 보인다.

조선후기에는 중덕에 관한 기록이 등장하지 않는다. 1566년(명종 21)에 선교양종(禪敎兩宗)과 승과가 혁파됨에 따라 더 이상 선시 합격자를 배출하지 못하게 되면서 중덕의 승계도 점차 사라진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 『용재총화(悀齋叢話)』
■ 『조선금석총람(朝鮮金石總覽)』上·下
■ 김용태, 『조선후기 불교사 연구』, 신구문화사, 2010.
■ 허흥식, 『고려불교사연구』, 일조각, 1997.
■ 원영만, 「고려시대 승관제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 최재복, 「조선초기 왕실불교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11.

■ [집필자] 강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