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대선(大選)

서지사항
항목명대선(大選)
용어구분전문주석
동의어대선(大禪)
관련어중덕(中德), 승계(僧階), 승직(僧職), 선시(選試), 승과(僧科), 도첩(度牒), 승록사(僧錄司)
분야문화
유형직역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조선시대에 승과에 합격한 사람이 처음으로 받던 승계.

[개설]
대선(大選)은 크게 두 가지 의미로 사용되었다. 조선전기에 선시(選試) 즉 승과(僧科)에 합격한 승려에게 내려진 승계(僧階)를 가리키기도 하고, 승려들을 대상으로 하는 시험이라는 의미로도 사용되기도 하였다. 승계로서의 대선은 ‘대선(大禪)’으로 표기하기도 하였는데, 점차 승직(僧職) 중 하나를 뜻하는 말로 쓰였다.

[내용]
대선은 고려후기에 승계가 변화하는 가운데 중덕(中德)과 함께 새로 등장한 승계로, 조선시대에는 국초부터 사용되었다. 고려말기를 거치면서 ‘대선-중덕’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승계가 정비된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 선시에 합격하면 대선이 되었는데, 대선에게는 10구(口)의 노비가 허용되었다[『태종실록』 15년 11월 21일]. 대선이 된 후 2년 이상 선(禪)이나 교(敎)를 닦아야 중덕이 될 수 있었는데, 이조에서 왕의 비답(批答)을 받은 뒤 대간(臺諫)서경(署經)을 거쳐야 중덕의 승계를 받을 수 있었다[『성종실록』 8년 3월 4일]. 중덕으로 승차(陞差) 즉 승진하면 사찰의 주지가 될 수 있었다[『성종실록』 9년 8월 4일]. 대선은 승과 합격자에게 내려 주는 가장 낮은 승계였으므로 공식적으로는 주지가 될 수 없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대선에서 중덕을 거친 다음, 선종의 경우에는 ‘선사(禪師)-대선사(大禪師)-도대선사(都大禪師)’의 순으로 승차하였고, 교종은 ‘대덕(大德)-대사(大師)-도대사(都大師)’의 순서로 승차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선시로 승려를 선발하여 대선의 승계를 내린 까닭에 ‘대선’은 선시를 일컫는 말로 사용되기도 하였다[『성종실록』 22년 11월 29일].

[참고문헌]
■ 『용재총화(慵齋叢話)』
■ 『조선금석총람(朝鮮金石總覽)』上·下
■ 김용태, 『조선후기 불교사 연구』, 신구문화사, 2010.
■ 허흥식, 『고려불교사연구』, 일조각, 1997.
■ 원영만, 「고려시대 승관제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 최재복, 「조선초기 왕실불교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11.

■ [집필자] 강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