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료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대선(大選)

서지사항
항목명대선(大選)
용어구분전문주석
동의어대선(大禪)
관련어중덕(中德), 승계(僧階), 승직(僧職), 선시(選試), 승과(僧科), 도첩(度牒), 승록사(僧錄司)
분야문화
유형직역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자료문의 연락처: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정의]
조선시대에 승과에 합격한 사람이 처음으로 받던 승계.

[개설]
대선(大選)은 크게 두 가지 의미로 사용되었다. 조선전기에 선시(選試) 즉 승과(僧科)에 합격한 승려에게 내려진 승계(僧階)를 가리키기도 하고, 승려들을 대상으로 하는 시험이라는 의미로도 사용되기도 하였다. 승계로서의 대선은 ‘대선(大禪)’으로 표기하기도 하였는데, 점차 승직(僧職) 중 하나를 뜻하는 말로 쓰였다.

[내용]
대선은 고려후기에 승계가 변화하는 가운데 중덕(中德)과 함께 새로 등장한 승계로, 조선시대에는 국초부터 사용되었다. 고려말기를 거치면서 ‘대선-중덕’으로 이어지는 일련의 승계가 정비된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에 선시에 합격하면 대선이 되었는데, 대선에게는 10구(口)의 노비가 허용되었다[『태종실록』 15년 11월 21일]. 대선이 된 후 2년 이상 선(禪)이나 교(敎)를 닦아야 중덕이 될 수 있었는데, 이조에서 왕의 비답(批答)을 받은 뒤 대간(臺諫)서경(署經)을 거쳐야 중덕의 승계를 받을 수 있었다[『성종실록』 8년 3월 4일]. 중덕으로 승차(陞差) 즉 승진하면 사찰의 주지가 될 수 있었다[『성종실록』 9년 8월 4일]. 대선은 승과 합격자에게 내려 주는 가장 낮은 승계였으므로 공식적으로는 주지가 될 수 없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대선에서 중덕을 거친 다음, 선종의 경우에는 ‘선사(禪師)-대선사(大禪師)-도대선사(都大禪師)’의 순으로 승차하였고, 교종은 ‘대덕(大德)-대사(大師)-도대사(都大師)’의 순서로 승차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선시로 승려를 선발하여 대선의 승계를 내린 까닭에 ‘대선’은 선시를 일컫는 말로 사용되기도 하였다[『성종실록』 22년 11월 29일].

[참고문헌]
■ 『용재총화(慵齋叢話)』
■ 『조선금석총람(朝鮮金石總覽)』上·下
■ 김용태, 『조선후기 불교사 연구』, 신구문화사, 2010.
■ 허흥식, 『고려불교사연구』, 일조각, 1997.
■ 원영만, 「고려시대 승관제 연구」, 동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0.
■ 최재복, 「조선초기 왕실불교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11.

■ [집필자] 강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