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통개장(筒介匠)

서지사항
항목명통개장(筒介匠)
용어구분전문주석
상위어공장(工匠)
동의어시복장(矢服匠), 전복장(箭服匠), 전실장(箭室匠), 통개장(筒箇匠)
분야정치
유형직역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가죽으로 된 화살집인 통개(筒介)를 만드는 장인.

[개설]
조선시대에 통개장(筒箇匠), 시복장(矢服匠), 전실장(箭室匠), 전복장(箭服匠) 등도 통개장(筒介匠)을 가리키는 용어로, 중앙에는 공조(工曹)에 관공장(官工匠)이, 지방에는 사공장(私工匠)이 있었다.

[담당 직무]
가죽으로 된 화살집인 통개를 만들었는데 같이 몸에 차는 궁대(弓袋)도 만들었을 것이다. 경공장으로 공조에 소속되어 있었으며 외공장(外工匠)은 별도로 없었다. 그러나 각 지방에서 방물로 통개를 바쳐야 하므로 지방에도 통개장이 있었다. 통개는 사슴과 돼지가죽 등으로 만드는데, 제작 기법과 재료가 전통(箭筒)과는 달라 통개장이 전통을 만들었는지는 분명하지 않다. 통개와 시통(矢筒)이 별개였음은 1425년(세종 7)에 세종이 매를 잘 부리는 문효종(文孝宗)에게 시복, 전통을 하사하였다는 기록에서 알 수 있다[『세종실록』 7년 3월 27일]. 통개는 모든 군사가 갖추어야 할 물건이므로 그 수효가 많아 통개장은 이를 제작하여 생계를 영위할 수 있었다.

[변천]
기록상으로 통개장은 1460년(세조 6)에 처음으로 등장한다. 이때 공조에 시복장이 12명 있었는데, 3번으로 나누어서 한 번에 4명씩 근무하였으며, 다른 11개의 장인 직종과 합하여 체아직으로 부급사(副給事)가 있었다[『세조실록』 6년 8월 1일]. 이 인원은 『경국대전(經國大典)』이 완성된 시점인 1485년에 크게 줄어 공조에 2명만이 배정되었다. 조선후기에는 군기시(軍器寺)에서 통개를 만들었는데, 통개장이 군기시에 소속되었는지는 확인되지 않는다.

[참고문헌]
■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 『경국대전(經國大典)』
■ 강만길, 「조선전기의 관장제와 사장」, 『조선시대상공업사연구』, 한길사, 1984.
■ 이혜옥, 「조선전기 수공업체제의 정비」, 『역사와 현실』 33, 1999.

■ [집필자] 김인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