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개설]
총어영은 1888년 4월 친군5영(親軍五營) 체제를 3영 체제로 개편할 때 별영(別營)을 재편한 군영이다. 그러나 이름만 별영에서 총어영으로 바뀌었을 뿐 조직과 구성은 별영 체제를 거의 그대로 답습했으며, 전투력과 군비는 근대화와는 거리가 있었다. 왕 호위와 궁궐 및 도성 방어를 담당했으며, 1894년 갑오개혁 과정에서 폐지되었다.
[설립 경위 및 목적]
갑신정변 이후 1884년(고종 21) 11월 7일 정부는 금위영과 어영청 소속으로 친군4영에 분속되었던 군사들을 합하여 친군별영(親軍別營)을 창설하고, 별영사에 전영사인 이교헌(李敎獻)을 임명하였다. 이로써 조선의 군제는 이미 구축된 친군4영 즉 전영·후영·좌영·우영과 함께 친군5영 체제로 확대되었다.
1888년(고종 25) 4월 19일 고종은 각 영이 분치(分置)되어 있어 불필요한 비용이 많이 들고, 각 영마다 500명으로 책정된 병사는 군사 훈련 규모에도 적합하지 않다는 점 등을 들어 중앙 군제를 3영으로 변통하겠다는 뜻을 피력하였다. 이어 “우영과 후영·해방영(海防營)을 합하여 통위영(統衛營)으로, 전영과 좌영을 합하여 장위영으로, 별영은 총어영(總禦營)으로 칭하도록 하라.”는 구체적 방안을 제시하였다[『고종실록』 25년 4월 19일].
그리고 바로 그날 통위사(統衛使)에 우영사·후영사·해방사를 겸임한 민영익(閔泳翊)을, 장위사(壯衛使)에 전영사인 한규설(韓圭卨)을, 총어사(總禦使)에 별영사 이종건(李鍾健)을 지명하였다.
이때 통위영은 중영(中營)으로 삼아 황색 깃발을, 장위영은 좌영으로 삼아 청색 깃발을, 총어영은 우영으로 삼아 백색 깃발을 사용하도록 하였다. 이로써 중앙군은 친군3영 체제로 개편되었으며, 총어영은 별영을 이어받아 새롭게 출범하였다. 4월 21일 총어영 도제조(都提調)에 영의정 심순택(沈舜澤)을 지명하고, 4월 22일에는 병조 판서로 하여금 총어영 제조를 겸임하도록 하였다.
[조직 및 역할]
총어영은 친군별영을 그대로 계승했기 때문에 조직과 구성 또한 전의 별영 체제를 따랐다. 다만 도제조와 제조를 증설하여 그 위상을 높인 점이 다르다. 총어영의 조직과 인원은 2~3개 군영을 합설한 통위영·장위영에 비해서는 규모가 작았다. 참고로 총어영의 전신인 별영의 조직과 구성을 보면, 병력 948명, 간부와 사무직 78명, 지원 요원 429명으로, 총 1,455명에 달하였다.
총어영은 왕이 외출할 때 가마를 호위하고, 도성의 순찰·방어를 담당하였다.
[변천]
1889년(고종 26) 4월 북한산 탕춘대에 보관한 총어영의 화약 8만여 근이 화재로 소실된 일이 있었다. 1892년(고종 29) 9월에는 총어영의 호칭을 친군으로 부르도록 하고, 용호영(龍虎營)과 경리청(經理廳)도 친군으로 부르게 하였다. 이후 총어영은 친군총어영으로 불렸다.
총어영은 1894년 갑오개혁 과정에서 폐지되었다. 1894년 11월 18일까지 총어영 군사마(軍司馬)의 인사이동 기록이 나오다가 이후 관련 기록이 없는 점으로 보아 그 이후 폐지된 것으로 판단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