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료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옥원역(沃原驛)

서지사항
항목명옥원역(沃原驛)
용어구분전문주석
상위어평릉도(平陵道)
관련어역도(驛道), 속역(屬驛), 찰방(察訪), 역승(驛丞), 명주도(溟州道), 역리(驛吏), 역노(驛奴), 역비(驛婢)
분야경제
유형집단 기구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자료문의 연락처: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정의]
조선시대 강원도 지역의 역도 중 하나인 평릉도에 속한 역으로, 오늘날의 강원도 삼척시 원덕읍 옥원리에 위치해 있었음.

[개설]
고려전기 전국의 525개 역을 22개 역도(驛道)로 편성하는 과정에서 옥원역(沃原驛)은 명주도(溟州道)에 소속되었다. 조선시대 들어와서는 세조대에 역제(驛制)를 41역도-543속역 체제로 개편할 때 평릉도(平陵道)를 구성하는 역 가운데 하나가 되었다.

[설립 경위 및 목적]
역(驛)은 중앙 집권 체제를 유지하고 중앙과 지방의 행정 명령 계통을 확립하기 위해 설치되었다. 왕명(王命) 및 긴급한 군사 기밀의 전달, 사신의 왕래에 따른 영송지대(迎送支待) 등을 주로 담당하였으며, 그밖에 진상품이나 공부(貢賦)의 운송 및 왕래인(往來人)의 규찰 등을 맡아본 중요한 육상 교통 기관이었다. 옥원역도 이러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고려시대부터 영동 지역에 설치되었다.

[조직 및 역할]
역참에는 역역(驛役)을 원활하게 수행하기 위해 역리(驛吏)와 역노비(驛奴婢) 등을 포함한 다양한 역민(驛民)이 편성되어 있었으며, 역의 재정에 충당하기 위해 역위전(驛位田) 또는 마전(馬田)이 지급되었다. 영조 때 편찬된 『여지도서(輿地圖書)』에 따르면, 옥원역에는 역리 30명, 역노 11명, 역비 6명과, 대마(大馬) 1필, 기마(騎馬) 2필, 복마(卜馬) 8필 등 총 11필의 역마가 배속되어 있었다.

[변천]
『고려사(高麗史)』 참역(站驛) 조에 따르면 옥원역은 고려시대 명주도에 소속된 28개 속역 가운데 하나였다. 오늘날의 강원도 삼척시에 위치하였으며, 삼척은 동계 소속이었다. 정확한 설치 시기는 알 수 없지만, 고려의 역제가 22역도-525속역 체제로 정비된 1061년(고려 문종 15)에서 1136년(고려 인종 14) 사이에 명주도에 소속된 것으로 보인다.

이후 조선초에 전국적인 역도-역로 조직을 마련하는 과정에서 평릉도에 소속되었다. 『세종실록』 「지리지」에는 평릉역·사직역(史直驛)·교가역(交可驛)·용화역(龍化驛)·흥부역(興富驛)·수산역(守山驛)·덕신역(德新驛)·달효역(達孝驛) 등과 함께 평릉도의 속역으로 기재돼 있다.

그 뒤 세조 연간인 1462년(세조 8)에는 각 도의 역참을 파하고 역로를 정비하여 찰방(察訪)역승(驛丞)을 두었다. 이때 옥원역은 동덕역(冬德驛)·대창역(大昌驛)·구산역(丘山驛)·목계역(木界驛)·안인역(安仁驛)·낙풍역(樂豊驛)·신흥역(新興驛)·교가역(交柯驛)·사직역·용화역·흥부역·수산역·덕신역·달효역·평릉역 등 15개 역과 함께 평릉도찰방의 관할이 되었다. 이 편제는 조선전기의 역참 제도가 완비된 『경국대전(經國大典)』 체제에서도 그대로 유지되었다.

『대동지지(大東地志)』에 따르면, 옥원역은 관아 남쪽 10리 지점에 위치해 있었다. 오늘날의 행정 구역으로는 강원도 삼척시 원덕읍 옥원리에 해당한다.

[참고문헌]
■ 『고려사(高麗史)』
■ 『여지도서(輿地圖書)』
■ 『대동지지(大東地志)』
■ 조병로, 『한국근세 역제사연구』, 국학자료원, 2005.

■ [집필자] 성주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