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순양역(順陽驛)

서지사항
항목명순양역(順陽驛)
용어구분전문주석
상위어율봉도(栗峯道)
관련어속역(屬驛), 역리(驛吏), 역노(驛奴), 역비(驛婢), 역촌(驛村), 찰방(察訪), 옥천군(沃川郡), 양산고현(陽山古縣)
분야경제
유형집단 기구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조선시대 충청도의 도로망인 율봉도에 속한 역으로, 오늘날의 충청북도 영동군에 위치해 있었음.

[개설]
고려시대 성종에서 문종 연간에 역로(驛路)를 22역도(驛道)-525속역(屬驛) 체제로 정비할 때, 순양역(順陽驛)은 경산부도(京山府道) 양산(陽山)에 위치해 있던 역이다. 조선시대 세종대의 44역도-537속역 체제에서는 증약도(增若道)에 속하였다. 그 뒤 세조대에 41역도-543속역 체제로 개편하는 과정에서 율봉도(栗峯道)를 구성하는 역 가운데 하나가 되었다. 이후 조선후기까지 존속했으나, 1896년(건양 1) 1월에 폐지되었다.

[설립 경위 및 목적]
『고려사(高麗史)』 참역(站驛) 조에 따르면 순양역은 고려시대부터 충청도 옥천 지역에 설치되어 있었으며, 경산부도에 속한 25개소의 역 중 하나였다. 정확한 설치 시기는 기록되어 있지 않지만, 고려의 역제(驛制)가 22역도-525속역 체제로 정비된 995년(고려 성종 14)에서 1067년(고려 문종 21) 사이에 경산부도에 소속된 것으로 보인다. 조선시대는 세종 연간에 전국적인 역도-역로 조직을 갖추는 과정에서 증약역을 포함한 9개 역과 더불어 증약도에 속하게 되었다.

[조직 및 역할]
영조 때 편찬된 『여지도서(輿地圖書)』 옥천군 편에 따르면, 순양역에는 대마(大馬) 1필, 기마(騎馬) 2필, 복마(卜馬) 7필 등 총 10필의 역마와, 역리(驛吏) 88명, 역노(驛奴) 3명, 역비(驛婢) 2명이 배속되어 있었다. 또 역 인근에는 ‘순양리’라는 역촌(驛村)이 형성되어 있었는데, 남자 251명, 여자 352명으로 합계 603명이 111호(戶)를 이루었다.

[변천]
조선시대에는 세조 연간에만 해도 세 차례나 역제가 개편되었다. 그 중 2차 개편이 단행된 1460년(세조 6)에는 성환도(成歡道)·일신도(日新道)·증약도·율봉도에 속한 역 가운데 22개 역이 성환도로 통합되었고 증약도 찰방(察訪)이 통합하여 관할하였는데, 그 중 순양역이 포함되어 있었다[『세조실록』 6년 2월 5일]. 3차 개편은 1462년(세조 8)에 병조의 건의에 따라 시행되었다. 각 도의 역참을 파하고 역로를 정비해 찰방과 역승(驛丞)을 두게 했는데, 순양역은 이때 율봉도찰방이 관할하는 역의 하나가 되었다[『세조실록』 8년 8월 5일]. 그 뒤 조선후기까지 율봉도에 속한 역으로 존속했으나, 1896년 1월에 대한제국 칙령 제9호 ‘각 역 찰방 및 역속 폐지에 관한 건’에 따라 철폐되었다.

한편, 조선후기의 실학자 유형원(柳馨遠)은 역졸의 왕래나 사신의 접대를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역 사이의 거리를 참고하여 찰방의 수를 조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율봉도에 속한 순양역의 경우 전라도의 제원도(濟原道)로 이속시킬 것을 건의하였다.

순양역의 명칭과 관련해 『세종실록』 「지리지」에는 ‘순양(順良)’이라 하여 양산(陽山)에 있었다고 했는데,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는 순양의 ‘양(陽)’자가 ‘양(良)’자로 표기되어 있다. 또 『대동지지(大東地志)』에 따르면, 순양역의 옛 이름이 양산고현(陽山古縣)이었다고 한다.

조선시대에 순양역이 있었던 옥천 지역에는 그 외에도 증약역·가화역(嘉和驛)·토파역(土坡驛)·화인역(化仁驛) 등이 있었는데, 토파역과 순양역은 무주와 영동으로 연결되는 도로에 있었다.

순양역의 위치는 『여지도서』에는 옥천군 남쪽 70리라고 하였으며, 『신증동국여지승람』과 『대동지지』에는 양산현 서쪽 4리 지점으로 기록되어 있다. 1800년 이전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전국 군현의 지도첩인 『광여도(廣輿圖)』에는 순양역이 옥천군에 표시되어 있다. 일제강점기에 작성된 「조선총독부 중추원 역원 조사표」에는 순양역의 위치가 영동군 학산면 박양리로 되어 있다. 1914년에 행정 구역을 통폐합할 때 박계리와 순양리를 통합하면서 한 글자씩 따서 박양리라고 하고 학산면에 편입했다가, 1918년에 박계리로 개칭하였다.

[참고문헌]
■ 『고려사(高麗史)』
■ 『여지도서(輿地圖書)』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 『대동지지(大東地志)』
■ 『광여도(廣輿圖)』
■ 조병로, 『한국근세 역제사연구』, 국학자료원, 2005.

■ [집필자] 이승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