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개설]
고려시대에는 평구도(平丘道)에 소속되었다. 『세종실록』 「지리지」에 의하면,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경기도의 역도(驛道)인 평구도에 속하였고, 세조대에는 경기좌도에 편입되었다. 그 뒤 조선전기의 역참 제도가 완비된 『경국대전(經國大典)』 체제에서는 다시 평구도의 속역으로 편제되었다. 이후 조선시대 후기까지 존속하다가 갑오개혁 때 폐지되었다.
[설립 경위 및 목적]
『고려사(高麗史)』 「병지(兵志)」 참역(站驛) 조에 따르면, 고려시대에는 평구도에 소속된 30개 속역 가운데 하나로 광주목에 위치하였다.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으나, 문종대 이후 고려의 역제(驛制)가 22역도-525속역 체제로 정비되는 과정에서 평구도에 편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조직 및 역할]
조선 영조 때 편찬된 『여지도서(輿地圖書)』 경기도 광주 조에 따르면, 봉안역에는 노비 9명과 역마 13필이 배속되었으며, 광주목 관아 동북쪽 30리 지점에 위치해 있었다. 한편 1496년(연산군 2)에는 봉안역에 소속된 노비를 내수사(內需司)로 이속하도록 하였으나[『연산군일기』 2년 9월 20일], 조정 대신들의 반대로 1496년(연산군 3) 다시 내수사에 속한 비자(婢子) 20여 명을 봉안역으로 환원하였다[『연산군일기』 3년 1월 7일].
[변천]
조선 건국 후 전국적으로 역도와 역로 조직이 정비되면서 봉안역은 경기도의 역도인 평구도에 소속되었다[『세종실록』 지리지 경기]. 그 뒤 1457년(세조 3)에는 이조의 건의에 따라, 한양 인근 경기도의 여러 역과 강원도 및 충청도 지역의 일부 역들을 합속해 역도를 개편하고 정역찰방(程驛察訪)을 설치하였다. 이때 봉안역은 경기좌도수참전운판관(京畿左道水站轉運判官) 겸(兼) 정역찰방의 지휘를 받게 되었다[『세조실록』 3년 9월 12일]. 뒤이어 성종대에 『경국대전』이 반포되면서 확립된 조선시대 전기의 역도 체제에서는 다시 평구도의 속역으로 편제되었다. 이후 조선시대 후기까지 평구도의 속역으로 존속하다가, 1896년(고종 33) 1월에 대한제국 칙령 제9호 ‘각 역 찰방 및 역속 폐지에 관한 건’에 따라 폐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