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료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녹양역(綠楊驛)

서지사항
항목명녹양역(綠楊驛)
용어구분전문주석
상위어평구도(平丘道)
관련어경기강원도정역찰방(京畿江原道程驛察訪), 역도(驛道), 속역(屬驛), 역승(驛丞), 찰방(察訪), 시북곡면(柴北谷面), 역리(驛吏), 역노(驛奴), 역비(驛婢)
분야경제
유형집단 기구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자료문의 연락처: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정의]
조선시대 경기도 지역의 역도 중 하나인 평구도에 속한 역으로, 오늘날의 경기도 의정부시에 위치해 있었음.

[개설]
녹양역(綠楊驛)은 고려시대 1061년(고려 문종 15)~1136년(고려 인종 14) 사이에 전국 525개 역을 22개 역도(驛道)로 편성하는 과정에서 청교도(靑郊道)에 소속되었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세종 때 경기강원도정역찰방(京畿江原道程驛察訪)에 속하였다가, 세조 연간에 전국적으로 역로(驛路)를 개편할 때 평구도(平丘道)에 소속되었다.

[설립 경위 및 목적]
『고려사(高麗史)』 「병지」 참역(站驛) 조에 따르면, 고려시대에는 개경에서 남경 즉 한양을 연결하는 역로인 청교도에 속한 15개 속역 가운데 하나였다. 정확한 설치 시기는 알 수 없으나, 고려의 역제가 22역도-525속역 체제로 정비되었던 1061년(고려 문종 15)~1136년(고려 인종 14) 사이에 설치된 것으로 보인다.

[조직 및 역할]
조선 영조 때 편찬된 『여지도서(輿地圖書)』 경기도 양주목 편에 따르면, 당시 녹양역에는 역리(驛吏) 및 역노(驛奴) 44명, 역비(驛婢) 28명과 14필의 역마가 배속되어 있었다.

한편 녹양역은 조선 세종 연간에는 왕과 세자의 사냥터로 활용되기도 하였다[『세종실록』 16년 9월 28일].

[변천]
조선 세종 연간에는 북방 지역을 개척하면서 전국적으로 역로를 재조직하였는데, 녹양역은 1424년(세종 6) 경기도 지역의 역로를 개편할 때 경기강원도정역찰방에 속하였다. 그 뒤 세조 연간인 1465년(세조 11)에는 경기강원역도가 평구도에 흡수됨에 따라 평구도에 속하게 되었다[『성종실록』 2년 4월 11일]. 이후 조선시대 전기의 역참 제도가 완비된 『경국대전(經國大典)』 체제에서도 평구도의 속역으로 편제되어 조선시대 후기까지 존속하였다. 1896년(고종 33) 1월에 대한제국 칙령 제9호 ‘각 역 찰방 및 역속 폐지에 관한 건’에 따라 폐지되었다.

『여지도서』에 따르면, 녹양역은 양주도호부에서 남쪽으로 10리 떨어진 시북곡면(柴北谷面)에 위치해 있었다고 한다. 오늘날의 행정 구역으로는 경기도 의정부시 녹양동 일대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 『고려사(高麗史)』
■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 『여지도서(輿地圖書)』
■ 조병로, 『한국근세 역제사연구』, 국학자료원, 2005.
■ 정요근, 「고려·조선초 역로망과 역제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 [집필자] 홍성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