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료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검수역(劒水驛)

서지사항
항목명검수역(劒水驛)
용어구분전문주석
상위어금교도(金郊道)
동의어검수참(劒水站)
관련어역도(驛道), 속역(屬驛), 절령도(岊嶺道), 황해도참로찰방(黃海道站路察訪), 절령역(岊嶺驛), 역졸(驛卒), 봉산군(鳳山郡), 자비령로(慈悲嶺路), 극성로(棘城路)
분야경제
유형집단 기구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자료문의 연락처: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정의]
조선시대 황해도 지역의 역도 중 하나인 금교도에 속한 역으로, 오늘날의 황해도 봉산군에 위치해 있었음.

[개설]
검수역(劒水驛)은 고려전기에 전국의 525개 역을 22개 역도(驛道)로 편성하는 과정에서 절령도(岊嶺道)에 소속되었다. 이후 조선시대에는 세조 연간에 역제(驛制)를 41역도-543속역 체제로 개편할 때 금교도(金郊道)를 구성하는 역 가운데 하나가 되었다. 황해도 봉산군에 위치해 있었으며, 갑오개혁 때까지 존속하였다.

[설립 경위 및 목적]
『고려사(高麗史)』 참역(站驛) 조에 따르면, 고려시대에는 절령도에 소속된 11개 속역 가운데 하나로, 오늘날의 황해도 봉산 지역인 봉주(鳳州)에 위치해 있었다. 정확한 설치 시기는 알 수 없으나, 고려의 역제가 22역도-525속역 체제로 정비된 1061년(고려 문종 15)에서 1136년(고려 인종 14) 사이에 설치된 것으로 보인다. 이후 조선초에 전국적인 역도-역로 조직을 마련하는 과정에서 금교역(金郊驛)흥의역(興義驛)금암역(金巖驛)보산역(寶山驛)안성역(安城驛)‧용천역(龍泉驛)‧절령역(岊嶺驛)‧동선역(洞仙驛)‧경천역(敬天驛) 등과 함께 황해도참로찰방(黃海道站路察訪)에 속하였다.

조선초에는 험난한 자비령로(慈悲嶺路) 대신 평탄한 극성로(棘城路)의 이용이 잦아지면서 극성로상에 있는 검수역의 중요성 또한 부각되는데, 『세종실록』에는 검수참(劍水站)에 전운(轉運) 노비를 지급한 기록이 나타난다[『세종실록』 2년 8월 12일].

[조직 및 역할]
『여지도서(輿地圖書)』 금천군 조에 따르면, 검수역에는 역졸(驛卒) 32명과 역마(驛馬) 9필이 배속되어 있었다. 금교도(金郊道)의 속역이었다.

[변천]
『신증동국여지승람』에 의하면 절령역(岊嶺驛)을 폐지하여 검수역으로 옮겨 설치하였고, 금교도에 소속시켰다. 또한 검수참(劒水站)으로도 불렸다.

조선시대의 역참 제도가 정비된 『경국대전(經國大典)』 체제에서는 금교역‧흥의역‧금암역 등 10개 역과 더불어 금교도에 소속되었으며, 조선후기까지 금교도의 속역으로 존속하였다. 이후 1896년(고종 33) 1월에, 대한제국 칙령 제9호 ‘각 역 찰방 및 역속 폐지에 관한 건’에 따라 폐지되었다.

검수역의 위치는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따르면, 금천 고을 동쪽 30리 지점이었다고 한다. 그에 비해 『여지도서』에는 옛 황해도 금천군 관아 동쪽 40리 지점으로 기록되어 있다. 오늘날의 행정 구역으로는 황해도 봉산군 산수면 용현리에 해당한다.

[참고문헌]
■ 『고려사(高麗史)』
■ 『경국대전(經國大典)』
■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 『만기요람(萬機要覽)』
■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 『여지도서(輿地圖書)』
■ 조병로, 『조선전기 역제사연구』, 국학자료원, 2005.
■ 오일순, 「고려시대 역제의 변동과 잡색역」,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0.
■ 정요근, 「고려전기 역제의 정비와 22역도」, 『한국사론』45, 2001.
■ 정요근, 「조선초기 역로망의 전국적 재편-교통로의 측면을 중심으로-」, 『조선시대사학보』46집, 2008.
■ 정요근, 「高麗·朝鮮初의 驛路網과 驛制 硏究」,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08.

■ [집필자] 성주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