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마의방(馬醫方)

서지사항
항목명마의방(馬醫方)
용어구분전문주석
관련어마의(馬醫), 이마(理馬), 마경언해(馬經諺解)
분야경제
유형개념용어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말의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처방.

[개설]
조선시대에는 초기부터 마의(馬醫)와 이마(理馬) 등을 각 목장에 배치하여 말[馬]의 건강을 관리하고 질병을 치료하는 데 힘썼으며, 마의학 서적을 간행하여 보급하는 데도 노력을 기울였다. 마의방(馬醫方)은 말의 질병을 치료하기 위한 처방으로, 여러 마의학 서적에 그 내용이 전한다.

[내용 및 특징]
조선시대에 마의학 서적으로 『마경(馬經)』·『상마경(相馬經)』·『원형마료집(元亨馬療集)』·『집성마의방(集成馬醫方)』·『마경언해(馬經諺解)』·『신각삼보침의학대전(新刻參補針醫學大全)』 등이 보급되어 있었다. 이 중 편찬 시기 또는 편찬자가 확인되는 것은 청나라 때 유본원(喩本元) 등이 편찬한 『원형마료집』, 1399년(정종 1)에 권중화(權仲和) 등이 편찬한 『집성마의방』, 인조 때 이서(李曙)가 편찬한 『마경언해』와 『신각삼보침의학대전』 등이다.

특히 『마경초집언해(馬經杪集諺解)』라고도 불리는 『마경언해』는 『마경』을 한글로 초역한 것으로, ① 말의 부모 있음을 논함 ② 좋은 말의 관상을 보는 그림 ③ 좋은 말의 관상을 보는 노래 ④ 좋은 말의 관상을 보는 법 ⑤ 나쁜 말의 형상을 가리는 법 ⑥ 흉한 말의 관상을 보는 법 ⑦ 여윈 말 세 종류와 몹쓸 말 다섯 종류를 분별하는 법 ⑧ 말이 장수하거나 일찍 죽음을 관상 보는 법 ⑨ 말의 이[齒]를 관상 보는 법 등 말과 관련된 115개 항목이 기록돼 있다.

한편 조선시대에는 말을 치료하는 약재로 질리(蒺蔾)·청밀(淸蜜)·출(朮)·웅담(熊膽)·교(蕎)·양(穰)·청고(靑盬) 등이 사용되었다. 말을 치료하는 의술에는 의방(醫方)·이약(理藥)·침자(針刺) 등이 있었으나 대개 경험을 위주로 하는 수준에 불과했다. 한 예로, 현종 때에는 전염병으로 수만필의 우마(牛馬)가 죽어가는데도 속수무책이었다[『현종개수실록』 9년 5월 8일].

[참고문헌]
■ 남도영 역, 『마경언해』, 한국마사회 마사박물관, 2004.

■ [집필자] 남상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