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마보단(馬步壇)

서지사항
항목명마보단(馬步壇)
용어구분전문주석
상위어마정(馬政), 목장(牧場)
관련어마조단(馬祖壇), 선목단(先牧壇), 마사단(馬社壇), 전곶목장(箭串牧場), 마역(馬疫)
분야경제
유형개념용어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말에게 해를 끼친다는 마보에게 제사를 지내기 위해 설치한 제단.

[개설]
마보단(馬步壇)은 말[馬]에게 해를 끼치는 신(神) 즉 해마(害馬)의 신인 마보(馬步)에게 제사를 지내는 제단을 말한다. 말을 사육하는 과학적인 방법과 수의학 등이 발달하지 못한 조선시대에는 말과 관련된 신에게 제사를 지냄으로써 말의 무병과 번식을 빌고, 재앙과 마역(馬疫)을 물리치려 하였다.

[내용 및 특징]
마보단에서는 해마다 중동(仲冬)인 음력 11월에 마보에게 제사를 지냈다. 그밖에 말과 관련된 제단으로는, 말의 수호신이라 불리는 천사(天駟)인 방성(房星)을 제사 지내던 마조단(馬祖壇), 말을 처음으로 길렀다는 양마(養馬)의 신 선목(先牧)을 모시는 선목단(先牧壇), 최초로 말을 탔다는 승마(乘馬)의 신 마사(馬社)에게 제사 지내는 마사단(馬社壇) 등이 있었다.

『태종실록』에는 각종 제단의 설치 규정이 소개됐는데, 마보단과 마사단·마조단·선목단은 너비 9보, 높이 3척의 규모로 설치됐으며 사방으로 나가는 계단이 조성됐다[『태종실록』 14년 6월 13일].

조선시대에는 이 4개의 제단을 한양 동교(東郊)에 위치한 살곶이목장(箭串牧場) 안에 설치하고, 각각 정기적으로 제사를 지냈다. 오늘날 서울특별시 성동구 사근동에 있는 한양대학교 구릉에 그 유적이 전한다.

[참고문헌]
■ 남도영, 『韓國馬政史』, 한국마사회 한국마사박물관, 1997.

■ [집필자] 남상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