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료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마보단(馬步壇)

서지사항
항목명마보단(馬步壇)
용어구분전문주석
상위어마정(馬政), 목장(牧場)
관련어마조단(馬祖壇), 선목단(先牧壇), 마사단(馬社壇), 전곶목장(箭串牧場), 마역(馬疫)
분야경제
유형개념용어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자료문의 연락처: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정의]
말에게 해를 끼친다는 마보에게 제사를 지내기 위해 설치한 제단.

[개설]
마보단(馬步壇)은 말[馬]에게 해를 끼치는 신(神) 즉 해마(害馬)의 신인 마보(馬步)에게 제사를 지내는 제단을 말한다. 말을 사육하는 과학적인 방법과 수의학 등이 발달하지 못한 조선시대에는 말과 관련된 신에게 제사를 지냄으로써 말의 무병과 번식을 빌고, 재앙과 마역(馬疫)을 물리치려 하였다.

[내용 및 특징]
마보단에서는 해마다 중동(仲冬)인 음력 11월에 마보에게 제사를 지냈다. 그밖에 말과 관련된 제단으로는, 말의 수호신이라 불리는 천사(天駟)인 방성(房星)을 제사 지내던 마조단(馬祖壇), 말을 처음으로 길렀다는 양마(養馬)의 신 선목(先牧)을 모시는 선목단(先牧壇), 최초로 말을 탔다는 승마(乘馬)의 신 마사(馬社)에게 제사 지내는 마사단(馬社壇) 등이 있었다.

『태종실록』에는 각종 제단의 설치 규정이 소개됐는데, 마보단과 마사단·마조단·선목단은 너비 9보, 높이 3척의 규모로 설치됐으며 사방으로 나가는 계단이 조성됐다[『태종실록』 14년 6월 13일].

조선시대에는 이 4개의 제단을 한양 동교(東郊)에 위치한 살곶이목장(箭串牧場) 안에 설치하고, 각각 정기적으로 제사를 지냈다. 오늘날 서울특별시 성동구 사근동에 있는 한양대학교 구릉에 그 유적이 전한다.

[참고문헌]
■ 남도영, 『韓國馬政史』, 한국마사회 한국마사박물관, 1997.

■ [집필자] 남상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