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마료(馬料)

서지사항
항목명마료(馬料)
용어구분전문주석
상위어마정(馬政)
관련어축마료식(畜馬料式), 청초절(靑草節), 황초절(黃草節)
분야경제
유형개념용어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국가에서 좋은 말을 양산하기 위해 종류와 양을 규정해 놓은 말의 사료.

[개설]
전근대에는 말[馬]이 주요한 교통 수단이었을 뿐 아니라 전쟁의 도구이자 외교의 수단이기도 하였다. 따라서 말을 잘 기르는 것은 매우 중요한 일이었다. 고려 현종 때는 양마를 확보하기 위해 말먹이 즉 마료(馬料)의 종류와 양을 정하였다. 말의 주된 사료인 풀의 성장기에 맞추어 1년을 청초절(靑草節)인 5월~9월과 황초절(黃草節)인 10월~4월로 구분하여 각각 달리 지급하도록 하였다. 고려 의종 연간에는 한 걸음 더 나아가 시기는 물론이고 말의 종류에 따라 사료를 달리 주도록 기준을 마련하였다. 이 기준을 축마료식(畜馬料式)이라고 하는데, 축마료식은 약간의 수정을 거쳐 조선시대로 계승되었다.

[내용 및 변천]
고려시대인 1159년(고려 의종 13)에는 전목사(典牧司)의 건의로 전국 목장의 축마료식(畜馬料式)을 규정하여 사육 방법을 정비하였다. 축마료식은 말과에 속한 동물 1마리당 하루에 주는 사료 기준이다. 다음 <표>에서 보면, 전마(戰馬)·잡마(雜馬)·낙타(駱駝)·건마(件馬)·라(騾: 노새)·빈마(牝馬)·상립마(常立馬)·파부마(把父馬)·려(驢: 나귀) 등 10여 종에 대한 마료는 패(稗), 실두(實豆)·말두(末豆) 등의 두(豆), 전미(田米), 염(鹽) 등이었으며, 그 중에도 패와 두가 가장 중요한 마료였음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패·실두·말두·전미·염 등의 마료를 양적인 면에서만 산출한다면 평균적으로 말 한 필이 하루에 약 1두 5승 7합을 먹었던 것을 알 수 있다.


축마료식은 약간의 수정을 거쳐 조선시대로 계승되었다. 조선에서도 고려와 마찬가지로 계절과 마필의 종류에 따라 말먹이를 결정하였는데, 『경국대전』 「병전」 적추(積芻) 조에 의하면, 각 목장에 마초장(馬草場)을 설치하여 사료를 재배하도록 하였다. 제주도 목장에는 약 450개소에 이르는 마초장이 설치되어 있었다. 사료는 목초와 곡초로 구분해, 목초로는 자골초·모애초·갈근·토끼풀·서숙대·어욱 등을, 곡초로는 콩·보리·조·녹두·보릿겨 등을 사용하였다. 마료의 양은 1429년(세종 11)에 큰 말에게는 하루에 콩 1말, 작은 말에게는 5되를 주도록 하였으며[『세종실록』 11년 2월 18일], 1451년(문종 1)에는 1필당 하루에 꼴[蒭] 10여 속을 먹이도록 하였다[『문종실록』 1년 3월 17일].

[참고문헌]
■ 『경국대전(經國大典)』
■ 남도영, 『韓國馬政史』, 한국마사회 한국마사박물관, 1997.

■ [집필자] 남상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