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관마(官馬)

서지사항
항목명관마(官馬)
용어구분전문주석
동의어국마(國馬)
관련어국마목장(國馬牧場), 전마(戰馬), 역마(驛馬), 파발마(擺撥馬), 태마(馱馬), 만마(輓馬), 농마(農馬), 교역마(交易馬), 진헌마(進獻馬)
분야경제
유형개념용어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조선시대 국가에서 관리하던 국마목장에서 생산된 말.

[개설]
조선시대에는 국마목장과 사마목장에서 말을 사육하였다. 그중 국마목장에서 생산된 말을 관마(官馬) 또는 국마(國馬)라고 하고, 사마목장에서 사육된 말을 사마(私馬)라고 불렀다.

[내용 및 특징]
조선시대 관마는 『경국대전(經國大典)』 「병전(兵典)」 구목(廐牧) 조에 따라 관리하였다. 각 도의 국마목장에서는 암말 100필과 수말 15필을 1군(群)으로 삼았다. 1군마다 군두(群頭) 1명, 군부(群副) 2명, 목자(牧子) 4명을 배치하여 말을 돌보게 하였다. 군두의 직무를 잘 수행한 자는 품계를 올리거나 관직을 수여하였다. 국마목장에는 그밖에 말의 병을 치료하는 이마(理馬)도 배치되어 있었다.

국마목장에서 생산된 관마는 그 쓰임새에 따라 군사용인 전마(戰馬), 교통용인 역마(驛馬)·파발마(擺撥馬), 물품 운반용인 태마(馱馬)·만마(輓馬), 농경용인 농마(農馬), 무역용인 교역마(交易馬) 등이 있다. 이외에 중국에 사절을 파견할 때 가지고 간 진헌마(進獻馬)를 공급하였다.

[참고문헌]
■ 『경국대전(經國大典)』
■ 남도영, 『韓國馬政史』, 한국마사회 한국마사박물관, 1997.

■ [집필자] 남상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