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료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관마(官馬)

서지사항
항목명관마(官馬)
용어구분전문주석
동의어국마(國馬)
관련어국마목장(國馬牧場), 전마(戰馬), 역마(驛馬), 파발마(擺撥馬), 태마(馱馬), 만마(輓馬), 농마(農馬), 교역마(交易馬), 진헌마(進獻馬)
분야경제
유형개념용어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자료문의 연락처: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정의]
조선시대 국가에서 관리하던 국마목장에서 생산된 말.

[개설]
조선시대에는 국마목장과 사마목장에서 말을 사육하였다. 그중 국마목장에서 생산된 말을 관마(官馬) 또는 국마(國馬)라고 하고, 사마목장에서 사육된 말을 사마(私馬)라고 불렀다.

[내용 및 특징]
조선시대 관마는 『경국대전(經國大典)』 「병전(兵典)」 구목(廐牧) 조에 따라 관리하였다. 각 도의 국마목장에서는 암말 100필과 수말 15필을 1군(群)으로 삼았다. 1군마다 군두(群頭) 1명, 군부(群副) 2명, 목자(牧子) 4명을 배치하여 말을 돌보게 하였다. 군두의 직무를 잘 수행한 자는 품계를 올리거나 관직을 수여하였다. 국마목장에는 그밖에 말의 병을 치료하는 이마(理馬)도 배치되어 있었다.

국마목장에서 생산된 관마는 그 쓰임새에 따라 군사용인 전마(戰馬), 교통용인 역마(驛馬)·파발마(擺撥馬), 물품 운반용인 태마(馱馬)·만마(輓馬), 농경용인 농마(農馬), 무역용인 교역마(交易馬) 등이 있다. 이외에 중국에 사절을 파견할 때 가지고 간 진헌마(進獻馬)를 공급하였다.

[참고문헌]
■ 『경국대전(經國大典)』
■ 남도영, 『韓國馬政史』, 한국마사회 한국마사박물관, 1997.

■ [집필자] 남상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