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의령원(懿寧園)

서지사항
항목명의령원(懿寧園)
용어구분전문주석
상위어능원(陵園)
동의어의소묘(懿昭墓), 의소원(懿昭園)
관련어사도세자(思悼世子), 의소묘(懿昭廟), 혜빈홍씨(惠嬪洪氏)
분야왕실
유형능 원 묘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조선 사도세자(思悼世子)와 혜빈홍씨(惠嬪洪氏)의 적장자인 의소세손(懿昭世孫)의 묘.

[개설]
오늘날 경기도 고양시의 서삼릉 내에 자리하고 있다. 1752년(영조 28) 의소세손이 세상을 떠났을 때, 안장된 곳은 지금의 서울특별시 서대문구 북아현동에 해당하는 양주 안현(鞍峴)으로, 당시에는 의소묘(懿昭墓)라고 불렀다. 1870년(고종 7)에 의령원으로 원호를 고쳤으며, 1949년 6월 7일에 현재의 위치로 이장하였다.

[조성 경위]
의소세손은 사도세자와 혜빈홍씨의 적장자로, 이름은 정(琔)이고 시호는 의소다. 1751년(영조 27) 5월 13일에 세손으로 책봉되었으나, 세 살이 되던 해인 1752년(영조 28)에 창경궁 통명전(通明殿)에서 죽었다. 죽은 지 석 달 만인 5월 12일에 양주 안현 남쪽 기슭에 예장하고 묘는 의소묘라 불렀다.

[조성 상황]
의령원은 세손 묘의 격식을 갖추고 있어 매우 간소하다. 봉분 사방에 호석과 양석 각 2개씩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계에는 표석과 혼유석, 망주석 1쌍이 있다. 표석은 영조가 직접 쓴 것이다. 하계에는 가운데에 장명등이 있고, 좌우에 문인석과 마석이 각 1쌍씩 배치되어 있다.

[변천]
의소묘는 편의에 따라 도성에서 가까운 곳에 조성했기 때문에, 묘역의 숲에 사는 호랑이와 표범이 백성들의 걱정을 사는 경우가 있었다. 1779년(정조 3)에는 이를 염려하여 묘역의 수목을 베어 내는 작업을 진행했다. 1870년(고종 7)에는 모든 능 원 묘의 정자각을 일제히 수개하였는데, 이때 의소묘의 정자각도 개수되었다. 같은 해 12월에 원호를 의령원으로 고쳤으며, 1899년(광무 3)에는 정자각 내에 설치한 신욕(神褥)과 좌면지(座面紙)가 사라지는 사건이 발생하여 다시 마련하여 배설했다.

일제강점기 때 전국에 흩어져 있던 태실과 효장묘(孝章墓), 문효묘(文孝墓) 등을 모두 서삼릉 내로 옮겼는데, 의령원은 해방 이후인 1949년에 효장묘 뒤쪽으로 이장되었다.

[관련 사항]
영조는 의소세손의 명복을 빌기 위해 봉원사(奉元寺)를 의소묘의 원당(願堂)으로 삼고, 특교(特敎)를 내려 용인의 땅을 사위전(寺位田)으로 획급하였다[『영조실록』 31년 11월 20일].

[참고문헌]
■ 서울시사편찬위원회, 『서울육백년사 Ⅴ. 문화사적』, 서울시사편찬위원회, 1998.

■ [집필자] 정정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