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개설]
동양에서는 전통적으로 28수가 방위에 따라 네 가지 신령한 동물의 형상을 이루고 있다고 여겼다. 허성(虛星)은 그중에서 북방 현무(玄武)에 속하는 일곱 별자리 가운데 넷째 별자리이다. 허성은 서양 별자리로는 물병자리의 ‘β Aqr(베타 물병자리)’와 조랑말자리의 ‘α Equ(알파 조랑말자리)’로 이루어진 별자리이다. 이 별자리의 수거성(宿距星)은 3등성인 ‘β Aqr’이다.
[내용 및 특징]
밤하늘에는 늘 그 자리에 있는 것처럼 보이는 붙박이별[恒星]들과 그 붙박이별을 배경으로 늘 이동하는 것처럼 보이는 해와 달, 그리고 오행성 등의 태양계 천체들이 있다. 이들 태양계 천체들은 밤하늘에서 주로 황도(黃道)를 따라 운행한다. 그래서 태양계 천체들의 위치를 기술할 때 황도 주위에 별자리들을 정해두고 그 별자리들에 대한 상대 위치로 기술하면 편리하다. 이와 같은 동기로 서양 천문학에서는 황도 12궁을 지정하였고, 중국에서는 28수를 지정하였다.
중국 천문학에서는 왜 28개의 별자리를 정하였는지에 대해 여러 학설이 존재한다. 그중 유력한 설은, 달의 운행 주기인 항성월을 기준으로 했다는 설이다. 1항성월은 약 27.32일이기 때문에, 황도 주변에 27개나 28개의 별자리를 정해두면 매일 변하는 달의 움직임을 효율적으로 기술할 수 있다는 것이다.
중국 천문학에서는 28수를 이루는 28개의 별자리들은 각 계절별로 7개씩 나누었다. 그리고 이들은 신령한 동물의 형상을 이루고 있다고 보았다. 주로 봄과 초여름 밤에 보이는 각(角)·항(亢)·저(氐)·방(房)·심(心)·미(尾)·기(箕)는 청룡(靑龍)의 모습을 이루고 있고, 여름과 가을철에 보이는 두(斗)·우(牛)·여(女)·허(虛)·위(危)·실(室)·벽(壁)은 현무의 모습을 이루고 있다고 보았다. 또한 가을과 겨울에 보이는 규(奎)·누(婁)·위(胃)·묘(昴)·필(畢)·자(觜)·삼(參)은 백호(白虎)의 모습을 이루고 있고, 겨울에 보이는 정(井)·귀(鬼)·유(柳)·성(星)·장(張)·익(翼)·진(軫)은 주작(朱雀)의 모습을 이루고 있다고 생각했다.
허성은 단 두 개의 별로 이루어져 있는데, 단원자(丹元子)는 『보천가(步天歌)』에서 “아래위로 별 하나씩이 구슬을 이은 것 같다.” 하고 읊었다. 이 두 별 중에서 남쪽에 있는 별은 서양 별자리로는 물병자리의 ‘β Aqr’이고 이름은 사달 수우드이며, 나머지 북쪽에 있는 별은 조랑말자리의 ‘α Equ’이고 이름은 키탈파(Kitalpha)이다. 이 가운데 허성의 거성은 아래에 있는 별인 물병자리의 β Aqr이다.
조선시대의 천문학자들은 별점을 칠 때 일반적으로 『천문류초(天文類抄)』를 참고하였다. 이 『천문류초』의 원전은 송(宋)나라의 정초(鄭樵)가 편찬한 『통지(通志)』 「천문략(天文略)」이다.
『통지』 「천문략」에서는 “허성은 젊은 나라[少疆]의 총재(冢宰)의 벼슬을 뜻한다. 읍거(邑居), 묘당(廟堂), 제사(祭祀) 등의 일을 주관하고, 또한 비바람[風雲]과 죽음[死喪]을 주관한다. 허성의 9척(尺) 아래에 황도가 지난다. 허성을 이루는 별들이 밝고 고요하면 천하가 편안할 것이고, 그 별들이 동요하면 죽음[死喪]과 곡읍(哭泣)이 생길 것이다. 일식이나 월식이 허성에서 일어나면 병란이 일어날 것이다. 별똥별이 허성을 침범하면 도적이 종묘를 어지럽히고, 오행성이 이 별자리를 침범하면 재앙이 있을 것이다.” 하였다. 여기서 침범한다[犯]는 것은 가까이 다가가는 것을 의미한다.
『송사(宋史)』 「천문지(天文志)」에서는 허성을 ‘허당(虛堂)’이라고 소개하였다. 여기서 허당이란 사람이 살지 않는 집, 다시 말해서 사당이란 뜻이다. 『송사』 「천문지」에서 다른 천문 현상들에 대한 점괘를 약간 뽑아서 보충하면 다음과 같다. “달이 허성을 침범하면 종묘에서 병사들이 움직이고 나라에 근심이 있으며 장수가 죽을 것이다. 객성(客星)이 허성을 침범하면 곡식이 귀하게 될 것이고 객성이 허성을 지키면 병란이 일어나되 가까이는 1년, 멀리는 2년 사이에 곡하고 울 일이 일어날 것이다. 혜성이 허성을 침범하면 나라가 흉하고 반역하는 신하가 있을 것이다. 패성(孛星)이 허성에 나타나면 곡하고 울 일이 일어날 것이다.” 여기서 지킨다[守]는 것은 들어가서 오랫동안 있는 것을 의미한다.
단원자(丹元子)의 『보천가(步天歌)』와 『천문류초』에 따르면, 허성은 황도십이궁으로는 보병궁(寶甁宮) 즉 물병자리에 속하고, 허성의 영역에서 일어나는 천문 현상은 중국의 제(齊)나라에 영향을 미친다고 한다. 이와 같이 고대 중국인들은 하늘의 일정 영역이 점성술적으로 지상의 지역과 연관되어 있다고 생각하였다. 이것을 분야설이라고 한다.
『조선왕조실록』에서는 28수를 호칭할 때, 별똥별 기록은 대부분 ‘-성(星)’으로 호칭하고, 수도(宿度)를 말할 때는 ‘-수(宿)’라고 호칭한다. 여기서 수도라는 것은 28수 각각이 차지하는 적경의 범위를 뜻한다. 『조선왕조실록』에서 ‘허성’으로 기록된 경우도 대부분 별똥별 관련 기록이다. 그중에서 예를 두 개만 들어보면, 먼저 별똥별이 자미(紫微)의 동원(東垣)에서 나와서 허성으로 들어갔다는 기록이 있다[『태조실록』 7년 5월 13일]. 또한 별똥별이 허성에서 나와서 곤방(坤方)의 하늘가로 들어갔는데, 모양은 주먹만 하고 꼬리의 길이는 2, 3척(尺) 정도였으며, 빛깔은 붉었다는 기록이 있다[『명종실록』 11년 10월 22일]. 여기서 곤방은 여덟 방위[八方] 중에서 서남쪽을 말한다. ‘허수(虛宿)’로 표현된 사례는 혜성이 허수의 수도 안, 이유성(離瑜星)의 북쪽에 나타났는데, 모양은 하고성(河鼓星)과 같았고, 빛깔은 창백색(蒼白色)이었다는 기록이 있다[『영조실록』 35년 3월 8일]. 『조선왕조실록』 원문에는 이유성의 유(瑜)를 유(楡)로 잘못 기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