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약적(籥翟)

서지사항
항목명약적(籥翟)
용어구분전문주석
관련어무구(舞具), 문무(文舞), 속악(俗樂), 아악(雅樂), 일무(佾舞), 제례악(祭禮樂), 회례악(會禮樂)
분야문화
유형물품 도구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조선시대의 각종 제례나 회례(會禮)에서 문무(文舞)를 출 때 사용한 춤 도구.

[개설]
약적(籥翟)은 약(籥)과 적(翟)을 아울러 이르는 말이다. ‘약’은 대나무로 만든, 구멍이 세 개인 취주용((吹奏用) 아악기를 가리킨다. ‘적’은 꿩 깃을 묶어 만든 도구로, 문(文)을 상징적으로 나타낸다. 조선시대에는 각종 제향과 회례연 등에서 조종(祖宗)의 문덕(文德)을 찬양하는 문무와 무공(武功)을 찬양하는 무무(武舞)를 공연하였는데, 문무를 공연할 때 이 약적을 사용하였다. 약은 왼손에, 적은 오른손에 들고 춤을 추었다.

[연원 및 변천]
조선시대에 문무를 연행할 때 약적을 사용한 것은 중국 주나라의 예법을 수용한 것이다. 세종 때 황희(黃喜)·맹사성(孟思誠) 등이 태조 및 태종에 대한 문무·무무 가사에 관해 아뢰면서, ‘제왕이 중화(中和)의 표준을 세워 가무(歌舞)를 지어 만세에 전하는 일은 마땅히 주왕가(周王家)로서 법을 삼아야 할 것’이라고 한 데서 이를 확인할 수 있다[『세종실록』 14년 9월 1일 7번재기사].

『주례』 「춘관」에는, “약사(籥師)는 국자(國子)에게 깃털로 춤추는 법과 약을 연주하는 법을 가르치는 일을 관장한다. 제사에서는 우(羽)와 약을 두드리며 춤추고, 손님에게 향연을 베풀 때도 이와 같이 한다. 대상(大喪) 때는 그 악기를 받들어서 간직해 진열해 둔다.”고 기록되어 있다. 여기서 깃털을 뜻하는 ‘우(羽)’는 꿩 깃을 나타내는 ‘적(翟)’과 통하는 말이다. 또 『시경』 「패풍」 간혜편에서는, “큰 덕을 갖춘 사람이 공(公)의 뜰에서 만무(萬舞)를 추네. 힘은 호랑이와 같고, 고삐를 잡음은 마치 실을 잡은 듯. 왼손에는 약을 쥐고, 오른손에는 적을 잡았네.”라고 했다. 즉 약적은 큰 문덕을 갖춘 사람이 만무를 출 때 사용하는 도구였다. 조선 성종 때 편찬된 『악학궤범』에 따르면, 약은 소리를 위한 것이고, 적은 형용[容]을 위한 것이라고 한다.

[형태]
약은 누런 대나무로 만드는데, 상단 앞면을 도려내 구멍을 내고 거기에 아랫입술을 대고 불면 소리가 나오도록 만든다. 길이는 1자 4치이며, 세 개의 구멍이 있다. 황종(黃鍾)부터 응종(應鍾)까지의 중성(中聲)을 주관한다. 옛날에는 동쪽 땅에서 나는 대나무로 만들었는데, 춘분(春分)의 음으로서 만물이 모두 약동하여 나오기 때문이라고 한다. 즉 약은 봄의 약동[躍]하는 기운을 상징한다고 한다.

적은 1자 4치 5푼 길이의 나무 자루 위에 용의 머리를 장식하고, 용의 입에 물려 있는 고리 아래로 꿩 깃으로 만든 장식을 세 개의 층으로 늘어뜨려 만든다.


[생활·민속 관련 사항]
조선시대의 약적은 종묘 제례, 사직제(社稷祭), 풍운뇌우제(風雲雷雨祭), 선농제(先農祭)·선잠제(先蠶祭)·우사(雩祀), 석전제(釋奠祭) 및 회례연(會禮宴) 등을 거행할 때 예식용 문무에서 사용했다. 약과 적은 본래 아악의 문무에 사용되었으나, 조선시대에는 아악과 속악의 문무에 모두 약적을 사용하였다.

[참고문헌]
■ 『주례(周禮)』
■ 『시경(詩經)』
■ 『악학궤범(樂學軌範)』

■ [집필자] 이종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