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절구(絶句)

서지사항
항목명절구(絶句)
용어구분전문주석
상위어시체(詩體)
관련어근체시(近體詩), 단구(斷句), 오언절구(五言絶句), 오절(五絶), 절구(截句), 칠언절구(七言絶句), 칠절(七絶)
분야문화
유형개념용어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4구로 이루어진 한시체(漢詩體)의 명칭.

[개설]
절구(絶句)는 4구로 구성되어 있는데, 한 구가 다섯 글자인 것을 오절(五絶) 혹은 오언절구(五言絶句)라 하고, 일곱 글자인 경우 칠절 혹은 칠언절구라고 한다. 또한 한 구가 여섯 글자로 이루어진 육언절구도 더러 있다.

절구는 고체시(古體詩)의 절구와 근체시(近體詩)의 절구로 양분된다. 근체시의 절구는 중국 당나라 때 시작되었으며, 율시보다 늦게 형성되었다. 율시를 반으로 잘라서 만들었다고 해서 ‘절구(截句)’ 또는 ‘단구(斷句)’라고도 한다. 그에 비해 고체시의 절구는 고시(古詩)를 4구로 간단히 만든 것인데, 율시 성립 이전에 형성되었다. 고절구(古絶句)는 중국의 서릉(徐陵)이 편찬한 『옥대신영(玉臺新詠)』에도 수록되어 있다. 당나라 때 이후에 시인들이 지은 고체 절구는 ‘고풍(古風)’이라 불렀으며, 근체 절구와 구분하였다.

[내용 및 특징]
근체 절구의 경우 형식적인 제약이 있다. 반드시 4구로 구성해야 하며, 까다로운 평측과 압운 규칙을 지켜야 한다. 절구에서는 1구를 기구(起句), 2구를 승구(承句), 3구를 전구(轉句), 4구를 결구(結句)라고 하는데, 시상(詩想)의 흐름 역시 이와 동일한 경우가 많다. 평측은 시의 음악적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방편으로, 정격(政格)과 다양한 편격(偏格)이 존재한다. 또 오언 절구는 승구와 결구에, 칠언 절구는 기구와 승구 및 결구에 반드시 압운해야만 한다.

절구는 편폭이 짧아서 시인의 순간적이고 단편적인 생활의 느낌을 서술하는 데 많이 쓰였다. 그러나 순간적인 감상일지라도 때로는 비교적 복잡하여 4구의 짧은 말로 개괄할 수 없는 경우가 종종 있다. 그 때문에 절구는 사물을 있는 그대로 그리는 사실(寫實)을 피하고 허상을 그리는[避實就虛] 수법을 택하여 측면적인 부각이나 좀 더 심층적인 접근을 통해 사람의 생각을 드러낸다. 그리하여 적은 양의 글로 많은 의미를 전달하는 예술 효과를 얻게 된다. 말은 짧으나 뜻은 깊어서 함축부진(含蓄不盡)의 맛이 있는 한시체가 바로 절구이다.

조선시대에는 선비라면 누구나 절구를 지었다. 왕도 예외는 아니었으며, 왕과 신하가 함께 절구를 지으며 오락을 즐기기도 하였다[『성종실록』 9년 12월 26일]. 연산군 시절에는 왕이 화양동에 행차하여 신하들에게 절구를 짓게 하기도 했다[『연산군일기』 4년 8월 21일].

[참고문헌]
■ 민병수, 『韓國漢文學槪論』, 태학사, 1996.
■ 오가와 다마키 지음, 심경호 옮김, 『당시개설』, 이회문화사, 1998.
■ 왕력 지음, 송용준 옮김, 『중국시율학』, 소명출판, 2005.
■ 천 뽀하이 지음, 이종진 옮김, 『당시학의 이해』, 사람과책, 2001.

■ [집필자] 박종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