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양심합(養心閤)

서지사항
항목명양심합(養心閤)
용어구분전문주석
상위어대조전(大造殿)
동의어보문각(寶文閣), 양심각(養心閣)
관련어궁궐(宮闕), 내전(內殿), 영월헌(迎月軒), 창덕궁(昌德宮), 후궁(後宮)
분야왕실
유형건축·능 원 묘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창덕궁 대조전 영역을 둘러싼 ‘口’자형 행각 중 남동쪽의 집채.

[개설]
양심합의 옛 이름은 정종 때 집현전(集賢殿)을 고쳐 부른 ‘보문각(寶文閣)’이다[『정종실록』 2년 1월 10일]. 보문각은 고려 때부터 궁궐의 도서관으로 쓰인 건물의 이름이다. 양심합은 창덕궁의 ‘재전(齋殿)’으로 사용되었는데, 경희궁에서 인선왕후(仁宣王后)를 장례 지내고 창덕궁으로 돌아와 재실로 삼았기 때문이다. 현종, 원빈홍씨(元嬪洪氏), 순원왕후(純元王后) 등이 이 집에서 승하하였다.

현종 때는 신하들이 드나들며 소대하여 사용 빈도가 매우 높았다. 대조전(大造殿), 즉 내전의 영역에 딸려 있으면서 이렇게 쓰인 것은 위치상 모순되어 보인다[『태종실록』 17년 1월 19일][『세종실록』 11년 4월 27일]. 양심합은 희정당(熙政堂) 후면과 연접한 장순문(莊順門)으로 드나들게 되어 있어, 중궁전보다는 편전인 희정당과 건물의 관계가 더 밀접해 보인다.

[위치 및 용도]
양심합은 대조전의 남동쪽 행각이며 희정당의 후원과 연접해 있다. 필요에 따라 여러 용도로 사용되었다. 왕이 신하를 소대하고 경연하는 장소, 책을 보관하는 서고, 왕이 치료를 받는 장소, 대비 승하 후 왕이 삼가하며 지내는 장소로 사용되었으며 망곡례를 행하는 장소로도 사용되었다.

정조 때 홍국영(洪國榮)의 누이동생인 원빈홍씨가 후궁으로 입궁하였는데 입궁한 지 불과 1년여 만에 양심합에서 사망했다. 이곳이 원래 원빈홍씨가 머물던 처소인지, 사망 직전에 옮겨간 것인지 알 수 없으나 후궁의 처소로 쓰였을 가능성이 크다. 순조의 생모인 수빈박씨(綏嬪朴氏) 또한 순조와 가까이 통행하기 위해 양심합에 머물렀다[『순조실록』부록 행장]. 철종 때는 순원왕후가 이곳에서 승하하였다.

[변천 및 현황]
언제부터 대조전의 이곳을 양심합으로 불렀는지 알 수 없지만 건립 시기는 대조전의 영건과 함께 이루어졌던 것 같다. 1833년(순조 33) 10월 내전의 화재로 대조전을 비롯한 주변 건물이 소실되어 다음 해 9월에 재건되었다. 그러나 1917년 11월 다시 대조전에 화재가 있어 내전이 모두 탔고, 3년 뒤 경복궁 내전 건물을 이건하여 창덕궁 내전의 중건이 이루어졌다. 그러나 옛 제도와는 다른 지금의 모습으로 변하게 되었다.

[형태]
「동궐도(東闕圖)」와 『창덕궁영건도감의궤(昌德宮營建都監儀軌)』에서 보이는 양심합은 조금 다른 형태를 보인다. 가장 크게 다른 점은 전면 기둥열의 초석이 장초석으로 변화된 것과 지붕의 구성이 팔작지붕으로 된 것이다. 집의 규모는 정면 9칸으로 「동궐도형(東闕圖形)」을 포함하여 「동궐도」, 『창덕궁영건도감의궤』 모두 일치한다. 다만 측면의 규모는 정확히 알 수 없는데, 「동궐도형」에 의하면 전·후면에 모두 툇마루를 두었고 동쪽 세 번째 칸부터 2칸이 마루로 되어 있으며 양쪽에 방이 놓여 있다.



[참고문헌]
■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
■ 『일성록(日省錄)』
■ 『궁궐지(宮闕志)』「동궐도(東闕圖)」「동궐도형(東闕圖形)」『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
■ 『임하필기(林下筆記)』
■ 『창덕궁영건도감의궤(昌德宮營建都監儀軌)』
■ 『한중록(閑中錄)』
■ 『홍재전서(弘齋全書)』

■ [집필자] 조옥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