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정의]
이십팔수(二十八宿) 중 북방칠수(北方七宿)의 제2수(宿)인 우수(牛宿) 별자리를 통틀어 이르는 말.
[개설]
오늘날 서양 별자리인 염소자리에 해당하는 6개의 별을 가리키는데, 기준이 되는 수거성(宿距星)이 곧 β별 다비흐(Dabih)이다. 견우성은 칠석 설화로 널리 알려진 견우와 직녀의 천문 신화에 등장하는 주인공으로, ‘소를 끌고 간다’는 뜻을 지닌 별자리이다. 직녀성(織女星)이 ‘베 짜는 선녀’라는 뜻을 지닌, 양잠을 대표하는 별자리라면, 견우성은 농경을 대표하는 별자리인 것이다. 고대사회는 농경을 중심으로 하였으므로, 양잠과 농사는 무엇보다 중요한 일이었다. 그런 까닭에 봄이 되면 왕이 중춘(仲春)에 동교(東郊)에서 선농례(先農禮)를 행하여 농업을 권장하고, 가을이 되면 왕비가 중추(仲秋)에 서교(西郊)에서 선잠례(先蠶禮)를 행하여 양잠을 권장하였다.
[내용 및 특징]
견우성이 구체적으로 어떤 별을 가리키는지에 대해서는 크게 2가지 용법이 혼재되어 있어 혼란스러운 경우가 많다. 첫째, 북방칠수의 우수(牛宿)를 뜻하는 경우에는 견우 6성을 줄여 흔히 견우성이라 부른다. 견우 6성은 귀수(鬼宿)와 마주 보고 있는데, 폭은 8도이며, 황도(黃道) 12궁 중 마갈궁(磨竭宮)에 해당한다.
둘째, 우수 위쪽에 있는 매우 밝은 별인 하고대성(河鼓大星)을 견우성으로 오인하는 경우도 있다. 견우와 직녀의 설화는 하늘나라에서 부부로 살던 두 사람이 천제의 노여움을 사 견우가 지상으로 쫓겨나는 바람에 은하수를 사이에 두고 헤어져 만날 수 없게 되었는데, 1년에 1번 칠석날 밤에 겨우 만나 재회의 기쁨을 나눈다는 내용이다. 이를 천문학과 신화학의 관점에서 보면, 한여름 밤 천정(天頂) 꼭대기에서 직녀대성(거문고자리 α별, Vega, 0.0등성)이 환히 빛나고 그 아래에 푸른 물결의 은하수가 넘실거리는데, 직녀성 바로 건너편 강변에 빛나는 별이 있다. 자세히 보면 하고 3성이 은하수에 반쯤 걸쳐 있는 모습인데, 강을 건너는 배가 잘 도착하도록 인도하기 위하여 북소리를 울린다는 뜻에서 ‘하고(河鼓)’라는 이름을 붙였다. 말하자면 배가 오가는 은하수의 선착장에서 북소리를 울리는 별자리인 것이다. 이처럼 하고성을 견우성으로 오인하는 이유는, 직녀대성이 하늘에서 5번째로 밝은 별인 데 비해 견우성은 3∼4등성으로 어둡고, 오히려 근처에 있는 하고대성이 밝아서 눈에 잘 띄기 때문이다. 농경을 상징하는 ‘견우’의 의미를 하고대성이 아니라 우수(牛宿)에다 붙인 것은 우수 별자리 바로 곁을 태양이 운행하는 궤도인 황도가 지나기 때문이다.
조선 세종 때 이순지(李純之)가 중국 문헌에 기록된 별자리 설명을 집성하여 편찬한 『천문류초(天文類抄)』에서는, 견우성을 백성들의 삶에 관계하는 별이란 뜻에서 ‘민성(民星)’이라 불렀고, 하늘의 관량(關梁) 곧 육로의 길목인 ‘관문’과 수로의 ‘교량’에 해당한다고 하였다. 또한 해와 달과 오행성이 지나는 길이며, 제사에 쓰이는 희생(犧牲)을 주관한다고 하였다. 고대 제사에서는 희생으로 쓰이는 소를 태뢰(太牢)라 하여 가장 상급의 제물로 여겼는데, 이런 인식이 견우성 별자리에 반영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