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찬선(贊善)

서지사항
항목명찬선(贊善)
용어구분전문주석
상위어동궁관(東宮官), 산림(山林),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 황태자시강원(皇太子侍講院)
관련어동궁아관(東宮衙官),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 황태자익위사(皇太子翊衛司)
분야정치
유형직역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조선후기 왕세자의 교육을 담당하던 세자시강원(世子侍講院) 소속의 정3품 당상관 관직.

[개설]
전통시대 세자의 교육 및 보도(輔導)를 담당하기 위한 관청 및 관직은 신라 경덕왕 때 동궁아관(東宮衙官)을 두었다는 기록으로 보아 신라 때부터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런 전통이 고려시대의 동궁관 및 세자부(世子府)로 이어져, 태자 및 세자의 교육과 관련한 각종 관직명이 등장하게 되었다. 찬선(贊善)의 경우 『고려사』 「백관지」 ‘동궁관(東宮官)’에 따르면 1068년(고려 문종 22)에 정5품의 좌·우찬선대부(左·右贊善大夫) 각 1명을 두었으며, 1116년(고려 예종 11)에도 태자의 관속으로 정5품의 찬선을 두었다. 고려시대 찬선의 임무가 정확히 무엇인지는 알 수 없지만, 사부(師傅) 등과 함께 기록된 것으로 보아 태자의 교육을 담당하던 관원이라 추측할 수 있다.

조선시대의 찬선은 인조반정 직후에 등장한다. 광해군을 몰아내고 권력을 장악한 반정 공신들은 정권의 기반 확보와 왕위 계승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사림들의 지지가 절실히 필요하였다. 이에 반정 공신들은 사림들에게 절대적인 영향력을 행사하던 재야 산림들을 광범위하게 초빙하였다. 여기에는 수많은 사림을 문하생으로 거느린 산림들을 중용함으로써 산림의 영향 아래 있던 사림을 반정 지지 세력으로 끌어들이기 위한 정치적 계산이 깔려있었다.

반정 세력들은 산림을 초빙하면서 그들을 위한 산림직(山林職)을 따로 설치하였는데, 성균관의 겸좨주[兼祭酒], 사업(司業) 그리고 세자시강원의 찬선, 진선(進善), 자의(諮議) 등이 대표적인 산림직이었다. 가장 먼저 설치된 것은 성균관의 사업으로 1623년(인조 1) 5월에 설치되었다. 또한 세자시강원의 산림직은 1646년 5월에 김상헌의 건의에 의해 설치되었다.

『경국대전』의 규정에 의하면 세자시강원의 전임 관원은 문과 출신이어야 임명될 수 있었다. 하지만 산림들은 과거 시험을 치지 않았다. 이에 송나라 때의 고사를 모방하여 재야의 학자들을 산림이라는 명목으로 초빙하게 되었다. 당상관은 찬선이라 하여 이전의 전임 관원인 보덕(輔德) 위에 두고, 당하관은 익선(翊善)이라 하여 문학(文學) 아래에 두며, 참하관은 자의라 하여 설서(說書) 다음에 두었다. 이것이 『속대전』에 규정되었는데, 찬선은 정3품, 진선은 정4품, 자의는 정7품이고, 정3품의 찬선이 세자시강원의 우두머리였다.

[담당 직무]
찬선은 ‘선을 인도한다.’는 의미이다. 조선시대의 세자는 장차 왕이 될 신분이므로 세자의 제왕학 교육 목표 역시 세자 개인의 선뿐만 아니라 궁극적으로 백성들의 선까지도 개발·육성하는 데 있었다. 조선후기에 저명한 재야 학자를 찬선으로 임명하여 세자의 품성과 학문을 인도하게 함으로써, 세자의 선에 대한 학문적 기초와 실천적 토대를 확립하고자 하였던 것이다.

[변천]
1894년(고종 31) 7월 관제 개정 시 시강원이 궁내부 예하에 편입될 때도 그대로 유지되었다. 대한제국이 선포되고 황제 체제가 성립되면서 세자시강원 역시 황제 체제에 맞추어 황태자시강원으로 바뀌었다. 아울러 조선시대의 세자익위사 역시 황태자익위사로 바뀌었다. 하지만 황태자시강원에 소속된 관원의 명칭이나 지위는 이전과 같았다. 대한제국 멸망 후 황태자시강원은 이왕직(李王職) 서무계(庶務係)에 흡수·통합됨으로써 황태자시강원에 소속된 찬선 역시 사라지게 되었다.

[참고문헌]
■ 『삼국사기(三國史記)』
■ 『고려사(高麗史)』
■ 『경국대전(經國大典)』
■ 『속대전(續大典)』
■ 『대전통편(大典通編)』
■ 『대전회통(大典會通)』
■ 『강학청일기(講學廳日記)』
■ 『강서원일록(講書院日錄)』
■ 『열성진강책목록(列聖進講冊目錄)』
■ 『정조강서원일기(正祖講書院日記)』
■ 『시강원지(侍講院志)』
■ 『열성조계강책자차제(列聖朝繼講冊子次第)』
■ 『서도(강학일기)(書徒(講學日記))』
■ 육수화, 『조선시대 왕실교육』, 민속원, 2008.
■ 이기순, 「인조조의 ‘반정공신’ 세력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0.

■ [집필자] 신명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