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사정(四正)

서지사항
항목명사정(四正)
용어구분전문주석
동의어동지(冬至), 추분(秋分), 춘분(春分), 하지(夏至)
관련어이분(二分), 이지(二至), 절기(節氣)
분야문화
유형개념용어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24절기(節氣) 중 동지(冬至)·춘분(春分)·하지(夏至)·춘분(春分) 등 4개의 기(氣)를 이르는 말.

[개설 및 내용]
24절기는 태양이 하늘을 한 바퀴 도는 도수 즉 360도를 15도씩 24등분한 지점에 해당하는데, 그중에서 특히 이분(二分)과 이지(二至)인 춘분과 추분, 동지와 하지를 사정(四正)이라고 부른다. 역법 계산의 기점이 되는 동지에 세상한(歲象限) 91.31도를 차례로 계속 더하면 각각 춘분, 하지, 추분이 된다. 그런데 태양은 근지점(近地點)과의 거리에 따라 영축(盈縮) 운동을 하므로, 사정 사이의 일수(日數)와 도수(度數)에 차이가 생기게 된다. 우연히도 『수시력(授時曆)』 제정 당시에 동지는 근지점(近地點)과 거의 일치하고 하지는 원일점(遠日點)과 거의 일치하여, 동지와 하지를 전후로 태양의 운동 속도가 대칭이 되었다. 그에 따라 『수시력』과 이를 따르는 역법에서는 임의의 날짜에 태양이 실제 위치한 곳을 계산할 때 이분(二分)과 이지(二至) 즉 사정을 기점으로 사용하였다. 태양의 영축 운동에 따른 사정 사이의 일수(日數)와 이를 나타낸 그림은 다음과 같다.

동지~춘분 = 추분~동지 = 88일 9,092분 92초

하지~추분 = 춘분~하지 = 93일 7,120분 25초


[참고문헌]
■ 유경로·이은성·현정준 역주, 『세종장헌대왕실록』「칠정산내편」,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3.
■ 이은희, 『칠정산내편의 연구』, 한국학술정보, 2007.

■ [집필자] 안영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