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정의]
조선전기 평안도·함경도 창고에서 전곡(錢穀) 출납(出納)을 관장하던 종6·7품의 지방 관서.
[개설]
조선초기 평안도와 함경도의 변방 백성들을 위로하기 위해 큰 고을에 토관직(土官職)을 설치했다. 사창서는 지방 군현의 전곡의 출납과 창고를 간수하는 일을 담당하였다. 원래 대창서(大倉署) 등의 명칭을 사용했지만, 1407년(태종 7) 사창서로 개편하였다.
[설립경위 및 목적]
조선초기 평안도와 함경도의 변방 백성들을 위로하기 위해 큰 고을에 토관직을 설치했는데, 사창서는 지방군현의 전곡(錢穀)의 출납과 창고를 간수하는 일을 담당하였다. 고려 때부터 토관직이 있었던 평양부의 경우, 조선 건국 이후 이를 계승하여 설치된 것이었다. 영흥부는 1407년(태종 7) 설치되었는데, 관원은 종6품 영(令), 종7품 승(丞), 종8품 직장(直長), 종9품 녹사(錄事)가 각 1명씩이었다. 함흥은 1434년(세조 16)에 설치되었는데, 관원으로는 종6품 영 1명밖에 없었다. 같은 해 함경도·평안도 각 고을의 토관 관직의 품계를 통일하였다. 1436년에 사창서가 설치된 경성부에는 종7품 사창서 주부 1명, 1446년 설치된 강계에는 종7품 승 1명, 정8품 녹사 2명의 관원이 근무했다.
[조직 및 역할]
사창서가 설치된 지역은 함경도의 영흥·영변·경성·회령·경원·종성·온성·부령·경흥, 평안도의 평양·의주 등지였다. 고을의 크기에 따라 사창서에 소속된 관원의 품계가 달랐다. 영흥부·평양부·영변대도호부·경성도호부의 경우 사창서는 종6품 아문으로 종6품의 감부(勘簿), 정8품 관사(管事), 종9품 섭사(攝事) 각 1명이 있었다. 의주·회령·경원·종성·온성·부령·경흥·강계는 종7품 아문으로 종7품의 장사(掌事), 종9품 섭사 각 1명이 있었다.
[변천]
함경도와 평안도 큰 고을에 설치된 사창서는 모든 지역에 일률적으로 설치된 것이 아니라 고을별로 시차를 두고 설치되었고, 관원의 명칭과 폐지 시기가 지역마다 달랐다. 전주와 경주에도 1457년(세조 3) 설치되었다가 1452년에 폐지되었다. 개성에는 1465년에 설치되었으나, 1469년(예종 1) 폐지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