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묘유전후분(卯酉前後分)

서지사항
항목명묘유전후분(卯酉前後分)
용어구분전문주석
관련어묘시(卯時), 일주(日周), 유시(酉時), 정망일하분(定望日下分)
분야문화
유형개념용어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월식(月食)이 묘시(卯時)와 유시(酉時) 전후(前後)를 기준으로 얼마나 떨어진 시각에 일어나는지를 나타내는 일분(日分) 값.

[개설 및 내용]
월식이 일어나는 시각을 묘전분(卯前分)과 묘후분(卯後分), 유전분(酉前分)과 유후분(酉後分)으로 나타내는 것을 묘유전후분(卯酉前後分)이라고 한다. 이는 월식이 일어나는 시각이 자정(子正)과 오중(午中)을 전후(前後)로 얼마나 떨어져 있는지를 알아보는 방법이다. 여기서 묘전분(卯前分)과 유후분(酉後分)은 각각 자정 이후와 이전의 시간을 말하고, 묘후분(卯後分)과 유전분(酉前分)은 각각 오중 이전과 이후 시간을 말한다.

야반(夜半)을 전후로 1일을 10,000분(分)으로 하는 일주(日周)의 1/4이 되는 묘시(卯時)와 유시(酉時)를 기준으로 하여, 정망일(定望日)의 일하분(日下分)이 일주의 1/4 이하면 묘전분(卯前分)이고 그 이상이면 반일주(半日周, 5,000분)에서 일하분을 감하여 묘후분(卯後分)으로 한다. 또 일하분이 3/4 이하에 있으면 일하분에서 반일주를 감하여 유전분(酉前分)으로 하고, 그 이상이면 일주에서 일하분을 감하여 유후분(酉後分)으로 한다.

묘전분(卯前分) = 정망 일하분 : 정망 일하분 < 1/4 일주

묘후분(卯後分) = 반일주 - 정망 일하분 : 1/4 일주 < 정망 일하분 < 1/2 일주

유전분(酉前分) = 정망 일하분 - 반일주 : 1/2 일주 < 정망 일하분 < 3/4 일주

유후분(酉後分) = 일주 - 정망 일하분 : 3/4 일주 < 정망 일하분 < 일주


[참고문헌]
■ 『고려사(高麗史)』
■ 유경로·이은성·현정준 역주, 『세종장헌대왕실록』「칠정산내편」, 세종대왕기념사업회, 1973.
■ 이은희, 『칠정산내편의 연구』, 한국학술정보, 2007.

■ [집필자] 이은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