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봉교(奉敎)

서지사항
항목명봉교(奉敎)
용어구분전문주석
상위어녹관(祿官), 동반(東班), 실직(實職), 응교(應敎), 정직(正職), 참하관(參下官)
하위어대교(待敎)
동의어공봉(供奉)
관련어근시(近侍), 사관(史官), 외사고(外史庫), 청직(淸職), 춘추관(春秋館) 기사관(記事官), 한림(翰林)
분야정치
유형직역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예문관(藝文館) 정7품 관원이며 춘추관(春秋館) 기사관(記事官).

[개설]
조선시대 예문관 정7품 관원으로 춘추관 기사관을 겸직했다. 정원은 2명으로, 대교(大敎) 2명, 검열(檢閱) 4명과 더불어 한림(翰林)이라고 불리는 대표적인 청직(淸職)이었다. 봉교(奉敎)는 사관들의 선임관으로서 예문관에서 숙직하면서 조정의 각종 회의와 모임에 참석하여 『조선왕조실록』 편찬의 기초 자료가 되는 사초(史草)를 작성했다. 문과 출신자 중에서 임명되어 검열을 거쳐 차례대로 승진하는 차차천전(次次遷轉) 방식으로 진급하였다. 검열과 마찬가지로, 사초를 작성하는 임무 외에 왕의 명령을 수행하는 역할도 했기 때문에 승지와 함께 근시(近侍)라고 불렸다.

[담당 직무]
조선시대 전임 사관이었던 봉교는 예문관 소속 정7품 관원이면서 춘추관 기사관을 겸하였다. 이는 고려시대 이래로 교명(敎命)을 작성하는 한림원(翰林院)과 사관(史館)이 밀접히 관련되었던 경험에서 유래하며, 조선시대 『경국대전』에서도 관례적인 직제가 그대로 반영되었다.

봉교란 왕의 교명을 받든다는 의미이다. 명칭에서 보다시피 봉교는 사관이 아닌 예문관이나 한림원 계열의 관원이다. 그러나 중국이나 고려와는 달리 조선시대의 봉교는 사관이었다. 조선시대의 예문관은 참하관(參下官)인 사관과 참상관인 좁은 의미의 문한관의 이중 구조로 되어 있었다. 때문에 봉교는 한림원 계열의 관원이면서도 사관의 역할을 담당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전임 사관의 역할은 경연 사목(事目)이 제정됨에 따라 입참(入參)을 항식(恒式)으로 삼고 조계(朝啓) 참여, 행행(行幸)의 시종 등으로 영역이 확대되었다. 또한 사관은 왕을 가까이에서 모시는 근시로 인정되었다. 경연 등에 참여하는 것은 이미 고려말부터 문제가 제기되어 꾸준히 확대되어 왔지만, 정청(政廳)과 국청(鞫廳) 참여를 둘러싼 논의로까지 전개되었다. 형옥(刑獄)을 조사한다든지 종묘 등의 관리 상황을 살피는 일도 사관이 근시로서 수행한 역할이었다.

[변천]
고려시대의 직사관은 7품 이하의 관원이었는데, 원래 품관은 아니었다. 이후 한림원과 사관이 예문춘추관으로 통합되면서 품관화되어 정7품·정8품·정9품의 참하관이 되었다. 조선 건국 후에는 태조 원년에 고려시대의 관직대로 공봉·수찬·직관이라고 하였다. 1401년(태종 1)의 신사관제(辛巳官制)에 이르러 예문관과 춘추관을 분리하면서 정7품인 공봉의 명칭을 봉교로 바꾸어 예문관에 소속시켰다. 이때부터 봉교·대교·검열이라는 관직 명칭을 얻게 되었고 이것이 『경국대전』에 그대로 기록되었다.

[참고문헌]
■ 『고려사(高麗史)』
■ 『경국대전(經國大典)』
■ 오항녕, 『한국 사관제도 성립사』, 일지사, 2009.
■ 택와 허선도 선생 정년 기념 한국사학논총 간행위원회 편, 『택와 허선도 선생 정년 기념 한국사학논총』, 일조각, 1992.
■ 정구복, 「고려시대의 사관과 실록 편찬」, 『제3회 국제학술회의 논문집』, 1984.
■ 한우근, 「조선전기 사관과 실록 편찬에 관한 연구」, 『진단학보』 66, 1988.

■ [집필자] 오항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