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형개(荊芥)

서지사항
항목명형개(荊芥)
용어구분전문주석
상위어약재(藥材)
동의어가소(假蘇)
분야문화
유형약재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형개(Schizonepeta tenuifolia var. japonica)의 꽃대.

[개설]
형개(荊芥)는 속명이며, 그 본명은 가소(假蘇)라 하는데, 『동의보감(東醫寶鑑)』에 냄새와 맛이 차조기와 비슷하기 때문에 가소라고 한다는 기록이 있다. 감기 등의 증상을 없애 주고[解表散風], 피부병을 치료하는[透疹] 등의 효능이 있다.

[산지 및 유통]
『세종실록』 「지리지」에 의하면 경기도, 충청도, 황해도, 강원도, 평안도에서 생산되는 토산물이다.

[약재화 방식 및 효능]
양력 7월과 8월에 채취한다.

여러 가지 피부병과 잘 낫지 않은 종기를 치료하고 한곳에 뭉친 기를 풀어 준다. 어혈을 제거하며 팔다리가 저린 것을 치료한다. 혈맥을 잘 돌게 하고 오장의 기를 보해 준다. 남자의 각기, 근육통, 머리가 아프거나 어지러운 것, 눈앞이 캄캄한 것, 손발의 힘줄이 오그라드는 것 등을 낫게 한다.

생것으로 먹거나 익혀서 먹고 달여서 차처럼 마시기도 한다. 두풍증과 땀이 나는 것도 치료하는데 약누룩을 푼 물에 형개를 넣고 달여 먹는다. 정종(疔腫)을 치료하는 데는 형개 한 줌을 썰어서 물 5되에 두고 1되가 되게 달인 다음 식혀서 2번에 나누어 먹는다. 형개를 장기간 먹으면 갈증이 생긴다.

[참고문헌]
■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
■ 『본초강목(本草綱目)』
■ 『동의보감(東醫寶鑑)』
■ 강병수 외, 『(원색)한약도감: 임상을 위한 한약활용의 필독지서』, 동아문화사, 2008.
■ 신전휘·신용욱, 『향약집성방의 향약본초』, 계명대학교출판부, 2006.
■ 동양의학대사전편찬위원회 편, 『동양의학대사전』, 경희대학교출판국, 1999.
■ 國家中醫藥管理局中華本草編委會, 『中華本草』, 上海科學技術出版社, 1999.

■ [집필자] 차웅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