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자료문의 :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형개(荊芥)

서지사항
항목명형개(荊芥)
용어구분전문주석
상위어약재(藥材)
동의어가소(假蘇)
분야문화
유형약재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자료문의 연락처: 한국학중앙연구원 031-730-8765


[정의]
형개(Schizonepeta tenuifolia var. japonica)의 꽃대.

[개설]
형개(荊芥)는 속명이며, 그 본명은 가소(假蘇)라 하는데, 『동의보감(東醫寶鑑)』에 냄새와 맛이 차조기와 비슷하기 때문에 가소라고 한다는 기록이 있다. 감기 등의 증상을 없애 주고[解表散風], 피부병을 치료하는[透疹] 등의 효능이 있다.

[산지 및 유통]
『세종실록』 「지리지」에 의하면 경기도, 충청도, 황해도, 강원도, 평안도에서 생산되는 토산물이다.

[약재화 방식 및 효능]
양력 7월과 8월에 채취한다.

여러 가지 피부병과 잘 낫지 않은 종기를 치료하고 한곳에 뭉친 기를 풀어 준다. 어혈을 제거하며 팔다리가 저린 것을 치료한다. 혈맥을 잘 돌게 하고 오장의 기를 보해 준다. 남자의 각기, 근육통, 머리가 아프거나 어지러운 것, 눈앞이 캄캄한 것, 손발의 힘줄이 오그라드는 것 등을 낫게 한다.

생것으로 먹거나 익혀서 먹고 달여서 차처럼 마시기도 한다. 두풍증과 땀이 나는 것도 치료하는데 약누룩을 푼 물에 형개를 넣고 달여 먹는다. 정종(疔腫)을 치료하는 데는 형개 한 줌을 썰어서 물 5되에 두고 1되가 되게 달인 다음 식혀서 2번에 나누어 먹는다. 형개를 장기간 먹으면 갈증이 생긴다.

[참고문헌]
■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
■ 『본초강목(本草綱目)』
■ 『동의보감(東醫寶鑑)』
■ 강병수 외, 『(원색)한약도감: 임상을 위한 한약활용의 필독지서』, 동아문화사, 2008.
■ 신전휘·신용욱, 『향약집성방의 향약본초』, 계명대학교출판부, 2006.
■ 동양의학대사전편찬위원회 편, 『동양의학대사전』, 경희대학교출판국, 1999.
■ 國家中醫藥管理局中華本草編委會, 『中華本草』, 上海科學技術出版社, 1999.

■ [집필자] 차웅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