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정의]
모창출(Atractylodes lancea) 또는 북창출(Atractylodes chinensis)의 뿌리줄기를 햇볕에 말린 것.
[개설]
창출(蒼朮)은 불필요한 수분을 제거하고 비위 기능을 좋게 해 주며[燥濕健脾], 찬 기운으로 생긴 증상을 없애 주고[祛風散寒], 눈을 맑게 해 주는[明目] 등의 효능이 있다.
[산지 및 유통]
『세종실록』 「지리지」에 의하면 경기도, 충청도, 전라도, 황해도, 평안도, 강원도, 함길도 등에서 생산되는 토산물이다.
[약재화 방식 및 효능]
양력 11월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팔다리가 저리고 아픈 증상, 팔다리에 생긴 마비 증상, 황달 등을 치료하고 땀이 나는 것을 멈추게 하며 열을 내리고 음식을 소화시킨다. 몸과 얼굴이 가렵고 감각이 이상한 증상, 두통, 눈물이 주체할 수 없이 흐르는 증상도 치료한다. 가래를 없애 주고 부종, 명치 밑이 땅기면서 그득한 것, 곽란으로 토하고 설사하는 것이 멎지 않는 것 등에도 두루 이용한 약재이다. 허리와 배꼽에 피가 잘 돌게 하고 진액을 생기게 하며 뱃속을 덥혀 주고 잘 소화되게 하면서 식욕을 돋운다. 약은 달여 먹는다. 장기간 먹으면 몸이 거뜬해지고 오래 살며 배고픔을 모른다고 하였다. 여러 가지 과로로 생긴 증상들[五勞七傷], 냉기, 헛배가 부른 것 등을 치료하며 허리와 무릎을 튼튼하게 한다.
『향약집성방(鄕藥集成方)』과 『본초강목(本草綱目)』에는 반드시 쌀뜨물에 담갔다가 씻어서 다시 쌀뜨물에 2일 동안 담가 두었다가 껍질을 제거한 후 쓰라고 나와 있다. 『세종실록』에는 이와 관련된 내용이 있다. 창출을 쌀뜨물에 담가 쓰는 것도 많고, 담그지 않고 쓰는 것도 많은데 외방 의원의 생도들이 모두 희게 하려고 수없이 물에 담그고, 또 밀가루로 빛을 내고 있었다. 따라서 상납시 반은 껍질을 벗겨 씻고 반은 털을 제거하여 상납하게 하기를 상소하였다[『세종실록』 16년 1월 30일].
창출과 백출은 그 효능이 비슷한데, 『향약집성방』에서는 창출이 백출보다 냄새가 세고 발과 아랫다리에 생긴 부종을 잘 낫게 한다고 하여 차이를 두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