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개설]
자완(紫莞)의 ‘자(紫)’는 뿌리가 자색(紫色)이라는 뜻이고 ‘완(菀)’은 뿌리에 물기가 많고 뿌리가 유연하다는 뜻이다. 폐를 윤택하게 하고 기운을 내려 주며[潤肺下氣], 가래를 없애 주고 기침을 치료하는[消痰止咳] 등의 효능이 있다.
[산지 및 유통]
『세종실록』 「지리지」에 의하면 경기도, 경상도, 전라도, 황해도, 평안도, 함길도에서 생산되는 토산물이다. 『세종실록』에 의하면 백렴(白歛), 후박(厚朴), 궁궁(芎藭), 통초(通草), 고본(藁本) 등과 함께 약재로 사용하지 못하도록 금지했다. 국내에서 재배되는 향약과 중국의 약재가 다르기 때문이었다[『세종실록』 5년 3월 22일].
[약재화 방식 및 효능]
음력 2월과 3월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동의보감(東醫寶鑑)』과 『본초강목(本草綱目)』에는 꿀물에 담갔다가 약한 불기운에 말려 쓰는 방법에 대해서도 나와 있다.
폐 기능이 극도로 약해지는 소모성 질환인 폐위(肺痿)로 피를 토하는 것을 낫게 하고 가래를 없애 주며 갈증을 멎게 한다. 기침하면서 기(氣)가 치미는 것, 기침할 때 피고름을 뱉는 것, 추웠다 열이 났다 하는 것, 기가 뭉친 것을 낫게 한다. 피부를 윤택하게 하며 골수(骨髓)를 채워 주고 팔다리가 무력해지는 증상을 치료한다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