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의염(義鹽)

서지사항
항목명의염(義鹽)
용어구분전문주석
상위어진휼(賑恤)
동의어의창염(義倉鹽)
관련어반염(頒鹽), 과염(課鹽), 의창(義倉)
분야경제
유형법제 정책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고려에서 조선전기까지, 국가에서 염세로 걷은 소금 중 일부를 시가보다 싼 값으로 곡식과 바꾸어 주던 제도, 또는 그 소금.

[개설]
조선전기 각 도에서는 납부받은 염세(鹽稅) 중 일부를 상납하고, 그 나머지는 각 도에 비축하여 경비로 사용하였다. 그리고 중앙정부와 각 도에서는 경비로 쓰고 남은 소금이 있으면 평민을 대상으로 해서 시가보다 싼 값으로 미곡과 교환할 수 있게 하였다. 그렇게 얻은 미곡은 군자곡(軍資穀)으로 활용하였다. 이러한 제도를 가리켜 과염법이라고 하였고, 시가보다 싸게 곡식과 교환하는 소금을 의염이라고 하였다[『태종실록』 14년 9월 8일].

[내용 및 특징] [변천]
고려시대에 의염창(義鹽倉)을 설치하고 매년 봄가을에 환과고독(鰥寡孤獨)에게 우선적으로 추포(麤布) 1필을 납부하게 하고 소금 20두를 받아가게 하였는데, 이를 반염(頒鹽)이라고 하였다.

조선왕조에 들어서도 이러한 조치가 계속되었으나, 그 내용에 약간의 변화가 있었다. 의염창을 혁파하고 사재감에서 이 일을 관장하였으며, 환과고독뿐만 아니라 관료와 평민 모두에게 포(布)·저화(楮貨)·동전(銅錢)을 납부하여 소금을 15두까지 교환할 수 있게 하였다. 15두 이상의 소금 교환은 오직 환과고독에게만 허용하였다. 그 후 군자감(軍資監)에서 이 일을 관장하여 쌀 1두를 납부하면 소금 5두를 교환해 주었다. 이는 당시 시가보다 싸게 소금을 교환해 주는 것이었고, 이를 의염이라고 하였다. 1446년부터는 시가에 비하여 소금 1두를 더해 주는 것으로 바뀌었다. 즉, 당시 소금 시가가 쌀 1두에 소금 2두였으므로, 쌀 1두를 납부하면 소금 3두와 교환해 주도록 하였다.

[참고문헌]
■ 박평식, 「조선 전기 염의 생산과 교역」, 『국사관논총』 76, 1997.
■ 김훈식, 「조선 초기 의창 제도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993.

■ [집필자] 이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