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주조선왕조실록

조선왕조실록사전을 편찬하고 인터넷으로 서비스하여 국내외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와 일반 독자들이 왕조실록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고자 합니다. 이를 통해 학술 문화 환경 변화에 부응하고 인문정보의 대중화를 선도하여 문화 산업 분야에서 실록의 활용을 극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조성하고자 합니다.

순군만호부(巡軍萬戶府)

서지사항
항목명순군만호부(巡軍萬戶府)
용어구분용어용례
관련어순군(巡軍), 순위부(巡衛府), 의용순금사(義勇巡禁司), 의금부(義禁府), 포도(捕盜), 순작(巡綽)
분야정치
유형집단 기구
자료문의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정보화실


[정의]
고려 말 조선 초기 순군(巡軍)과 옥사(獄事)를 맡아보던 관청.

[내용]
순군만호부(巡軍萬戶府)는 조선시대 의금부의 전신으로 고려 말 조선 초 포도(捕盜)·금란(禁亂) 등의 일을 담당하던 관청이었다. 고려 충렬왕 초 원래 포도기관이던 야별초가 원나라의 간섭으로 폐지되고 몽고의 제도를 모방한 순마소(巡馬所)가 설치되었다. 처음에는 유생 출신을 뽑아 치안을 담당하도록 했으나 궁중에서 잡부 등을 보는 벼슬아치인 내료가 순마를 겸하고 일종의 금군 역할도 담당하는 등 그 기능이 강화되었다. 순마소에는 도적을 지키기 위한 군졸이 배치되어 있어 이들을 순마군 또는 순군이라 했다. 이 순군제가 충렬왕 말년 순군만호부로 확대·개편되었다. 순군만호부 관원은 도만호, 상만호, 만호 등 원나라 제도에 따르는 군관제를 채택했다. 또한 순마소의 치안 기능 외에 민간의 다툼이나 소·말 등의 도살을 단속하고 사헌과 협동하여 약탈·음란자도 가려내 단속하는 기능도 강화되었다. 공민왕 때 사평순위부(司平巡衛府)로 고쳤다가 우왕 때 다시 순군만호부로 고쳐지는 등 변화를 겪었으나 위화도 회군 이후 이성계 일파를 도와 반대파 제거 옥사를 담당한 것이 계기가 되어 조선 건국 직후 기능이 더욱 강화되었다.

태조는 즉위교서에서 사법에 관한 것은 형조에서 맡게 하고 순군 즉 순군만호부는 순작과 포도, 그리고 금란의 임무를 담당하게 하고 유사한 기능을 가진 가구소(街衢所)를 폐지하였다. 이는 순군만호부가 군사적인 기능은 물론 사법 전반에 걸친 광범위한 기능을 가졌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순군만호부는 이후 몇 번의 변화를 거쳤다. 1402년(태종 2) 순위부(巡衛府), 다시 1403년(태종 3)에 의용순금사(義勇巡禁司)로, 태종 14년에 의금부(義禁府)로 고쳤다.

[용례]
臺諫刑曹同章上請曰 臣等同巡軍萬戶府 鞫問李興茂金可行朴仲質等 其招辭關係大體 不可易決 乞將辭連人等 一處憑問 明正其罪 上不允[『태조실록』 3년 1월 21일]

[참고문헌]
■ 이상식, 「義禁府考」,『法史學硏究』4, 한국법사학회, 1977.
■ 한우근, 「麗末鮮初 巡軍硏究-麗初 巡檢制에서 起論하여 鮮初 義禁府成立에까지 미침-」,『震檀學報』22, 震檀學會, 1962.

■ [집필자] 정순옥